삼성물산 건설부문이 초고층 모듈러 승강기 개발에 나서며 탈현장 건설(OSC·Off Site Construction)사업 확대에 속도를 낸다.
삼성물산은 지난 16일 충남 천안시 서북구 삼성물산 모듈러 승강기 연구개발(R&D)랩에서 현대엘리베이터와 ‘모듈러 승강기 기술 고도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조인수 삼성물산 M&E본부장(상무)과 이태원 현대엘리베이터 최고기술책임자(CTO) 등이 참석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지난해 공동 개발한 모듈러 승강기 기술을 고도화하고 그 범위를 초고층용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삼성물산은 2021년 13m 이하의 저층용 건물에 적용할 수 있는 모듈러 승강기 1세대 기술을 개발했다. 이후 현대엘리베이터와 협업해 지난해에는 국내 최초로 건물 중심(코어)과 일체형(40m 높이 이하)인 2세대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삼성물산은 세계 최고 높이인 아랍에미레이트(UAE) 부르즈 할리파, 2위인 말레이시아 메르데카 118 등 초고층 빌딩 시공 경험을 토대로 최대 500m 높이의 초고층 건물에도 적용할 수 있는 3세대 모듈러 승강기 기술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모듈러 승강기 기술은 부품 중 약 70%를 사전에 모듈 형태로 조립해 공사 현장에서 수직으로 쌓아 설치하고 내외장 마감 등만 진행하는 공법이다. 이를 통해 작업자 안전 위험을 낮추면서도 승강기 공사 기간을 기존 공법과 비교해 약 75%가량 단축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조인수 삼성물산 M&E본부장은 “승강기 공사의 모듈러 전환은 안전과 공기 측면에서 획기적인 장점이 있다”며 “이번 협약을 OSC 트렌드를 선도하는 발판으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