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적인 인사이드-아웃 궤도를 위한 두 번째 시간은 엎어 치는 다운스윙에 관한 내용이다. 앞서 다뤘던 지나치게 안쪽으로 평탄하게 흐르는 백스윙과는 반대로, 너무 가파르게 들어 올리는 동작 때문에 문제를 겪는 골퍼들도 많다. 상체 힘이 강한 남성들에게서 엎어 치는 스윙이 주로 보이는데, 슬라이스나 왼쪽으로 당겨지는 미스 샷의 원인이 된다.
▲잊지 말자, 몸통 회전
톱 단계에서 그냥 확 엎어 치는 다운스윙은 체중 이동 없이 팔을 풀어주는 동작만으로 볼을 때리게 된다. 이는 미스 샷뿐 아니라 팔꿈치 부상을 부르기도 한다. 엎어 치는 다운스윙의 근본 원인 역시 잘못된 백스윙에 있다. 몸통과 어깨가 회전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양손을 가파르게 들어 올리기 때문에 다운스윙에서도 회전 동작이 거의 나올 수 없는 것이다. 이런 골퍼들의 대부분은 백스윙 톱에서 양손이 정상적인 위치보다 얼굴 쪽에 좀 더 가깝게 놓이며 가슴은 어드레스 때처럼 지면을 향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회전 없이 번쩍 들어 올리는 백스윙을 하면 임팩트 구간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짧은 클럽은 왼쪽으로 향하는 샷이 나오기 쉽고, 긴 클럽의 경우 페이스가 덜 닫히면서 슬라이스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헤드를 보며 테이크어웨이를
엎어 치는 스윙의 원인이 너무 가파른 백스윙이니만큼 교정도 백스윙에서 시작해야 한다. 몸이 클럽과 함께 회전을 하지 않는 골퍼들은 체중이 왼발에 그대로 남아 백스윙 톱에서 중심축이 타깃쪽으로 무너지는 역 피봇 형태를 띠는 경향이 있다.
어깨 회전과 체중 이동을 돕기 위한 방법으로 ‘헤드 바라보기’를 추천한다. 테이크어웨이를 시작하면서 시선과 얼굴이 클럽헤드와 함께 간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너무 급하게 들어 올리는 골퍼들은 왜글이나 연습 스윙을 할 때 시선은 물론 고개도 살짝 헤드를 따라 움직여주면 체중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몸통 회전이 수월해진다. 평소보다 평탄한 백스윙 궤도를 만드는 데에 도움이 되며, 몸에 들어간 힘과 긴장감이 줄기 때문에 유연성이 떨어지는 골퍼들에게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어드레스 때 타깃 반대쪽으로 약간 기울여준 척추 각을 백스윙을 하는 동안 유지해준다고 생각하는 것도 좋다.
어깨 회전에만 신경을 쓰다가 너무 몸 뒤쪽으로 빼서는 안 된다. 이렇게 하면 다운스윙 때 왼쪽 어깨가 막히면서 임팩트 때 상체를 세우는 얼리 익스텐션 동작이 나올 수 있다. 몸통을 감아주고 손을 올려 정상적인 백스윙 톱 자세가 완성되면 양손이 오른쪽 귀 뒤쪽에 위치하며 가슴은 지면이 아닌 타깃 반대쪽을 향하게 된다.
다운스윙 때는 골반을 왼쪽으로 틀면서 그립 끝이 볼을 향하도록 양손을 수직으로 떨어뜨려준 뒤 어깨를 회전하면 자연스럽게 아웃사이드-인 궤도의 다운스윙이 만들어진다. 백스윙이 정상적으로 이뤄졌는데도 엎어 치는 스윙이 나온다면 동작의 순서가 잘못됐을 가능성이 크다. 골반을 틀어주기 전에 양손을 먼저 쓰면 내던지는 듯한 스윙을 하기가 쉽다.
김기환 남서울CC 로직골프아카데미 원장은 한국프로골프(KPGA) 투어 선수 출신으로 이정은6, 박보겸, 이승택 등을 지도하고 있다. 동작 시범을 맡은 박종현은 KPGA 정회원이며, 아내인 KLPGA 정회원 이명환과 함께 대구에서 골프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