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주요국을 상대로 관세 협상을 진행 중인 가운데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미국과의 최종 합의 시점을 7월 초로 늦추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11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는 이달 1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미일 2차 관세 협상 이후 측근들에게 “서둘러 합의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시바 총리는 11일 후지TV에 나와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점을 두고 “기한이 온다고 해서 불리하더라도 타협한다는 이야기는 안 된다”고 말했다.
당초 이시바 총리는 6월 중순까지 신속하게 협상을 끝내겠다는 계획이었다. 이를 위해 6월 15~17일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만나 큰 틀의 합의를 이룰 방침이었다. 하지만 미국 내에서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대한 우려가 쏟아지는 만큼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시바 총리는 대신 상호관세 유예 조치 기간이 끝나는 7월 8일 전후로 방미를 추진한다. 아사히신문은 “미국 내에서 고율 관세 조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여론 악화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조치를 바꿀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에 이시바 총리는 상황을 지켜보자는 입장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참의원(상원) 선거를 염두에 둔 정치적 계산이 반영된 판단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미일 관세 협상이 일본에 우호적으로 타결될 경우 7월 참의원 선거에서 여당에 유리하게 작용될 수 있다는 정무적 판단이 이시바 총리의 입장에 영향을 줬다는 해석이다. 일본의 참의원 선거 투·개표는 7월 20일로 예상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