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23억 원. 국내 주요 배터리 소재 기업 20개사가 받아든 지난해 합산 손실이다. 이들 중 흑자 기업은 5곳에 불과했다. 한때 질주하던 K배터리의 기술력을 뒷받침한 소재 업계가 중국에 밀려 생존을 걱정하는 처지가 된 것이다.
중국은 저가 밀어내기로 위협 중이다. 특히 음극재의 경우 가격이 한국산의 절반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 음극재 시장에서 국내 주요 기업은 포스코퓨처엠이 유일한 반면 중국 점유율은 약 90%에 달한다. 다른 주요 소재인 양극재 또한 마찬가지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이 독점하는 LFP(리튬·인산·철) 양극재 판매량이 전년 대비 53%나 늘었다. LFP 소재는 국내 업계가 주력으로 하는 하이니켈 배터리 소재보다 가격경쟁력이 높다.
2차전지 산업에서 소재 공급망이 차지하는 중요성은 다른 산업보다 구조적으로 클 수밖에 없다. 첨단산업의 심장 역할을 하는 배터리의 전체 원가에서 양극재가 차지하는 비중만 해도 30%가량이다. 배터리가 강력한 에너지를 내뿜으려면 리튬·니켈 등 여러 원자재가 뒤섞인 상태에서 안전하게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화학적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반도체에 밀려 지원 사각지대에 있다고 우려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달 28일 SK하이닉스 공장을 찾아 국내 생산 반도체에 대해 세액공제를 적용하겠다고 밝힌 것만 봐도 그렇다. 생산 세액공제는 미국에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근거해 배터리 공장에 지급되면서 주목받았는데 정작 한국에서는 반도체가 우선시되는 모양새다.
한국은 배터리 소재 분야에서 중국에 뒤처졌지만 유일하게 중국과 경쟁할 수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 과거 나란히 주도권 경쟁을 하던 일본은 생산능력에서 밀리는 실정이다. 2차전지의 탑재 영역은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향후 로봇·에어택시 등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갈수록 높은 성능의 2차전지가 요구될 것이며 꾸준한 연구개발(R&D) 투자를 해온 배터리 업체만이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정치권이 지속 성장할 2차전지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배터리 지원 법안을 신속히 제정해야 하는 이유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