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정국을 거치며 정치·사회적으로 양극화된 국민 여론이 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를 둘러싸고 또다시 둘로 쪼개졌다. 직장인을 중심으로 휴일 지정에 찬성하는 목소리와 소상공인 등 자영업자와 경영계를 중심으로 한 반대 여론이 팽팽하게 맞섰다. 연휴를 일주일가량 앞둔 시점까지 정부가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으면서 다양한 해석과 추측이 이어졌다.
임시공휴일 논란은 징검다리 연휴 때마다 반복되는 이슈다. 그동안 정부는 내수 진작과 국민 피로감 완화 등을 이유로 예고 없이 임시공휴일을 지정해 휴일에 대한 불확실성을 키웠다. 지금까지 총 65일의 임시공휴일 가운데 광복절 75주년 및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내수 회복 차원에서 지정된 2020년 8월 17일 임시공휴일은 한 달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결정됐다. 2015년 8월 14일 광복절 70주년 및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확산으로 인한 경기 침체 회복을 위해 지정된 임시공휴일은 9일 전에 확정됐고 심지어 2016년 5월 6일 어린이날과 토요일 사이 내수 증진을 위해 지정된 임시공휴일은 불과 일주일 전에 발표됐다.
그러나 정작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등 경영계는 임시공휴일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인건비 부담과 생산 차질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대통령 탄핵으로 촉발된 정치적 불확실성과 경기 불황에 고물가·고환율까지 겹쳐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된 상황에서 임시공휴일 지정에 따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게 경영계의 중론이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4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3.8로,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 이후 여전히 회복되지 않고 있다. 소비자들이 여전히 지갑을 열 준비가 안 돼 있다는 의미다.
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은 무산됐지만 그때그때 내놓는 일회성 조치가 아니라 근본적인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내수 활성화라는 정책적 효과를 끌어내려면 안정적으로 가계 소비를 늘릴 수 있도록 휴일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게 우선이다. 정책 불확실성이 높아질수록 소비뿐 아니라 투자마저 위축시켜 경기 침체를 심화시키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새 정부에서는 체계적인 공휴일 운영을 통해 더 이상 쉬는 날을 둘러싼 논란이 반복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