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일 SK텔레콤의 유심 정보 해킹 사건과 관련해 “이 정도로 큰 사고를 내고 이 정도로 부실하게 하는 부실하게 대응하는 기업이라면 당장 문을 닫아도 이상하지 않다”며 신속한 사고 수습을 촉구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SKT 유심 해킹 사태는 그 자체로도 큰 문제지만 사고 대응은 최악 중 최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사태 발생 초기에 빨리 알리지도 않았고 제대로 설명하지 않았으며 피해를 막기 위한 구체적 행동 지침도 제시하지 않았다”며 “특히 어르신을 비롯한 취약계층 지원대책은 사실상 전무하다. 사고는 SKT가 냈는데 국민들이 대리점 앞에 줄을 서고 몇시간씩 줄을 서도 유심을 구하지 못하고 있다”고 직격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SKT는 유심 해킹 상황을 인지하고도 24시간 내 신고 의무를 어겼고 한국인터넷진흥원의 피해지원 서비스도 거부했다”며 “어제 과방위에서는 가입자 신원을 식별하는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유심 정보를 암호화하지 않았단 사실도 밝혀졌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SKT는 2400만 명의 가입자를 가진 이동통신사 1위 사업자이고 군을 비롯해 정부 기관에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보안 수준과 사고 대응을 보면 일말의 책임감도 없어 보인다”며 “국민들은 이런 기업에 대한민국의 주파수를 맡길 수 있겠냐고 묻고 있고 배상과 보상은 물론 통신사업권 회수까지 주장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권 비대위원장은 SKT를 향해 “최대한 빨리 유심을 확보하고 전 고객 택배 배송 조치를 통해 국민들이 줄을 서지 않도록 하라”며 “금융 본인 인증 등 보안 체계를 대폭 강화하고 투명하게 공개해 국민을 안심시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SNS, 이메일, 인터넷, 우편 등 온오프라인 수단을 총동원해 국민들에게 행동 지침을 알리라"며 "어르신과 정보 취약계층에 대한 현장 지원을 펼쳐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부를 향해서도 “이번에 해킹 당한 SKT의 홈 가입자 서버와 가입자 인증키 저장 시스템 등 핵심 인프라가 국가 주요 정보통신 기반 시설로 지정돼 있지 않고 정부의 직접 점검이나 기술 진단 대상에서 빠진 점은 명백한 제도적인 허점”이라며 “국가 정보통신 인프라에 구멍이 뚫려 있었던 것은 아닌지 정부에서 신속하게 문제점을 파악하고 분석해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