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행이 오는 5월 1일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정책금리를 현행 0.5%로 동결하고,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하향 조정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은행이 이달 30일~다음 달 1일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열어 정책금리를 동결할 방침이라고 28일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과 이에 따른 경제 영향을 예측하기 어렵고, 불확실성이 높아 당분간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실질 GDP 성장률도 하향 조정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틀에 걸친 회의 후 5월 1일에는 일본은행이 3개월마다 수정하는 경제·물가정세 전망(전망 리포트)이 발표된다. 앞서 1월 전망에서는 기준 실질 GDP의 전년 대비 성장률 전망(9명의 금융정책위원 전망의 중앙값)이 2025 회계연도 1.1%, 2026 회계연도 1.0%였다. 신선식품을 제외한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각각 2.4%, 2.0%였다. 닛케이는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관세 타격을 고려해 새 전망에서 2025·2026 회계연도의 실질 GDP 성장률이 전년 대비 1% 미만 수준으로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2025 회계연도의 CPI 역시 2% 정도로 하향 조정될 수 있다고 봤다. 이들 수치와 함께 이번에는 2027 회계연도의 전망도 새롭게 제시될 예정이라 일본은행의 전반적인 경제 시각 및 진단을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닛케이는 일본은행 관계자를 인용해 “관세가 경제 성장률을 둔화시킬 것이라는 견해가 강하다”며 “미국과 중국이 서로 고율의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세계 경기 둔화를 초래하는 간접적인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한 지난 24일 기자회견에서 “세계 경제에 관해서는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우에다 총재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에 대해 “여러 메커니즘을 생각하고 있다”며 교역량 감소, 기업·소비자 심리 위축, 공급망 혼란 등의 영향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다만 우에다 총재는 일시적 변동 요인을 제외한다는 것을 전제로 물가 상승률이 2% 이상을 유지하면 금리를 인상해 나갈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앞서 일본은행은 지난해 3월 기준금리인 단기 정책금리를 17년 만에 올리며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끝냈고 같은 해 7월 정책금리를 0.25%로, 올해 1월 다시 0.5%로 각각 인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