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임기 초반부터 전방위적인 관세 부과 정책을 발표하면서 세계 경제에 부담이 되고 있다. 중국을 제외한 나라들에는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상황은 계속해서 바뀌고 있지만 방향성은 분명하다. 미국의 관세 부과 정책은 과거 대비 강해질 가능성이 크며 주요 타깃은 중국이라는 점이다.
무역 장벽은 단기적으로 경제 성장의 걸림돌로 작용한다. 지난 2018년 미·중 무역 전쟁 당시에도 세계 경제는 둔화했고 소비자와 기업 모두 타격을 입었다. 더 큰 문제는 금융 시장이다. 성장 둔화 국면에서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 이는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 운용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장기적으로 무역 갈등은 단순한 경제 이슈를 넘어 지정학적 리스크로 확대될 수 있다. 많은 국가들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선택을 강요받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으며 탈세계화 흐름 속에서 공동의 이해관계는 약화하고 있다. 실제로 멕시코와 한국은 미국과의 무역 협상을 앞두고 중국산 제품의 우회 수출 차단 의지를 밝히는 등 전략적 제휴를 위해 기존 무역 관계를 재조정하는 움직임이 뚜렷해지고 있다.
중국은 전략적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과거 미국에 대한 높은 수출 의존도를 보였던 중국은 수출 구조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전 세계 제조업의 32%를 차지하는 중국은 대미 수출 비중을 2018년 20%에서 현재 15% 미만으로 줄였다. 대미 수출이 중국 국내총생산(GDP)에 기여하는 비중 역시 3%에 불과하다. 이제는 미국에서 판매되지 않는 스마트폰, 전기차, 5G 장비 등이 수출 주력 품목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중국 경제는 여전히 수출 의존도가 높다. 주요 무역 상대와의 관계 유지가 필수적이다. 특히 1조 달러에 달하는 중국의 무역 흑자 가운데 절반 이상이 글로벌 남반구 국가들과의 교역에서 발생하고 있어 이들과의 협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미국과 동맹 관계에 있는 국가들은 자국 산업 보호, 무역 적자 해소, 국가 안보 등의 이유로 중국과의 교역을 축소할 가능성이 있다. 선택의 갈림길에 선 국가들 중에는 그동안 중국산 제품의 우회 수출 통로로 활용돼 이익을 누렸던 국가들도 있다. 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싱가포르가 대표적이다. 지식재산권 이전, 현지 부품 비중 확대 등 완전한 현지화에 성공하지 못할 경우 이들 국가의 무역 손실은 불가피해 보인다.
세계 경제는 글로벌 무역 질서가 재편되는 과정 속 혼란의 시기를 지나 새로운 균형점(New Equilibrium)을 찾아갈 것이다. 민간 부문의 회복탄력성과 기술 혁신이 위기를 돌파할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며, 정책 결정자들 역시 변화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변화의 본질을 직시하고 그 속에서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향을 잡는 이들이 결국 미래를 만들어갈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