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이호해수욕장에 수십 톤 규모의 미역이 연이틀 밀려오면서 때 아닌 ‘미역과의 전쟁’이 선포됐다.
1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오전 이호해수욕장에 이달 16일에 이어 엄청난 양의 미역 더미가 또다시 밀려왔다. 이 미역들은 얕은 바다에 떠다니다가 거센 파도를 타고 백사장으로 올라온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시 소속 바다환경지킴이와 공공근로자 20여 명은 오전 8시부터 쓰레기 포대 수백 개를 들고 미역 수거에 나섰다. 막대한 양의 미역을 인력으로 처리하기엔 무리가 있어 트랙터가 동원되기도 했지만, 작업에 적합지 않아 결국 사람 손으로 치우는 일이 반복됐다.
앞서 16일 떠밀려 온 미역의 양은 무려 20톤가량으로 폐사한 미역을 담은 포대를 실은 1톤 트럭이 30회 이상 쓰레기 집하장을 오간 것으로 전해졌다. 치우지 못한 미역이 장기간 산소에 노출되면서 부패하자 악취와 함께 해충도 꼬이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례적인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관련 기관도 조사에 나섰다. 일부 전문가들은 주말께부터 이어진 거센 풍량으로 바위에 붙어 있던 미역이 떨어져 나온 것으로 보고 있다. 강형철 제주도해양수산연구원 연구사는 “최근 떠밀려 온 미역은 지난해 12월께부터 자라기 시작했던 것”이라며 “미역의 밑동을 포함한 전체적 상태가 좋은 것으로 볼 때 최근 4.5m에 달하는 강한 파도가 수일간 몰아치는 과정에서 물리적인 힘에 영향을 받아 떨어져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강 연구사는 이어 “단년생인 미역은 수온이 17도 가량일 때 포자 방출을 시작해 확산한 뒤 여름을 거치는 동안 휴면 상태에 있다가 지난해 12월께 발아해 최근까지 성장에 적합한 수온이 유지되면서 왕성하게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며 “얕은 수심에 있거나 떠밀려온 지 얼마 되지 않은 미역은 섭취가 가능할 정도로 상태가 좋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떠밀려 온 미역을 먹는 것은 상태를 보고 신중하게 판단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제주도해양수산연구원은 당분간 미역이 이호해수욕장으로 추가 유입될 것으로 보고 정확한 미역 유입량과 자세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에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