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인공지능(AI) 칩 1위인 엔비디아 H20 칩의 중국 수출을 제한했다. 전세계를 상대로 관세전쟁을 벌이고 있는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압박을 강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기업에 대량 주문을 받아온 엔비디아는 수조 원의 타격을 입게 됐다.
엔비디아는 지난 9일 미 정부로부터 H20 칩을 중국 수출 시 당국의 허가가 필요하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또 14일에는 이 규제가 무기한 적용될 것이라는 통지를 받았다고 전했다.
엔비디아는 H20 칩이 중국의 슈퍼컴퓨터에 사용되거나 전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미 정부가 새 규제의 근거로 들었다고 설명했다. 이 칩은 미국이 안보를 이유로 최첨단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규제해 오는 가운데 그동안 중국에 합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최고급 사양 AI 칩이다. 특히 H20은 1월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던 중국 딥시크의 AI 모델 학습에 사용한 칩 중 하나로 알려졌다.
올해 1분기 알리바바와 텐센트, 바이트댄스 등 중국 기술 대기업은 160억 달러(22조 8000억원) 이상의 H20 칩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엔비디아는 이번 수출 제한 조치로 중국 사업에 직격탄을 맞으면서 회계연도 1분기(2∼4월)에 55억 달러(7조 8567억 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는 재고, 구매 약정, 관련 충당금 등에 따른 비용이다.
앞서 지난 9일 미 공영방송 NPR은 트럼프 행정부가 H20 칩에 대해 중국 수출을 제한하려던 계획을 철회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는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이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의 사저가 있는 마러라고 만찬에 참석한 이후로, 황 CEO가 이 만찬에서 미국 내 AI 데이터 센터에 대한 새로운 투자를 약속한 뒤 방침이 변경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결국 미 정부는 H20 수출 규제를 강행했다.
이번 규제로 H20에 고대역폭메모리(HBM)를 공급하는 국내 메모리 회사들에도 영향이 있을지 주목된다. 현재 H20에는 4세대·5세대(HBM3·HBM3E) 제품이 적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최신 제품에 적용되기 시작한 5세대 HBM(HBM3E) 8단 제품의 메인 공급 업체는 SK하이닉스(000660)다. 삼성전자(005930)도 지난해 하반기 납품했던 경험이 있으나 품질 이슈 등으로 현재는 공급이 중단됐고, 개선 제품을 통해 공급망 재진입을 노리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