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원그룹이 글로벌 식품 사업을 대폭 강화하기 위해 사업구조 재편에 나서면서 계열사인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기로 했다. 이번 사업구조 개편으로 글로벌 대형 인수합병(M&A) 등 사업 확장 기회가 늘어나고 주주 가치 제고에도 도움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동원산업과 동원F&B는 지난 14일 이사회를 열고 포괄적 주식교환 계약 체결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동원산업은 동원F&B 주주에게 1:0.9150232 비율로 신주를 발행해 지급할 예정이다.주식교환이 마무리되면 동원F&B는 동원산업의 100% 자회사로 편입되고 상장 폐지된다.
주식교환이 마무리되면 동원F&B는 동원산업의 100% 자회사로 편입되고 상장폐지된다. 양사는 주식교환 안건을 의결하기 위한 주주총회를 오는 6월 11일 개최할 계획이다. 반대하는 주주는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청구 가격은 관련 법령에 따라 동원산업 3만 5024원, 동원F&B 3만 20131원으로 각각 결정됐다. 동원산업의 신규 발행주식 수는 주식매수청구가 종료되는 7월 1일 이후 최종 확정된다. 동원F&B 상장폐지는 오는 7월 31일 이뤄질 예정이다.
이번 사업구조 개편으로 특히 글로벌 사업 영역 확장 기회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동원산업은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한 뒤 동원홈푸드와 스타키스트(Starkist), 스카사(S.C.A SA) 등 4개의 식품 관련 계열사를 ‘글로벌 식품 디비전’으로 묶어 글로벌 사업의 전략적 추진과 시너지 창출을 달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그룹 식품사업의 해외 매출 비중을 지난해 기준 22%에서 2030년 40%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증권업계에서는 그간 동원F&B의 미미한 해외 비중이 그동안 밸류에이션 할인 요인으로 작용해 온 만큼 이번 개편이 글로벌 경쟁력의 토대가 될 것이라고 내다본다.
또한 유통 주식수 증가가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심은주 하나증권 연구원은 “동원산업의 대주주+특수관계인 이외 기타주주 비중은 약 14%에 불과했다”며 “주식매수청구가 없다는 가정하에, 신주 452만 3902주가 교부되면 기타주주 비중이 약 23%까지 확대될 것으로 추산된다”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