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회사채 발행 주관 업무를 맡은 증권사가 계열 금융사 동원을 약속하는 ‘캡티브 영업’에 문제점이 없는지 살펴보기 위해 증권사 현장 검사를 개시했다.
10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오는 21일부터 다음 달 15일까지 미래에셋증권과 삼성증권에 대한 현장검사에 착수한다. 일부 증권사들이 회사채 주관 임무를 수임할 때 수요예측이나 인수 시 계열사 참여를 약속하면서 발행사 요구금리에 주문을 맞춰주고, 자기자금으로 회사채를 인수했다가 손해를 보고 처분하는 형태를 반복하면서 시장 왜곡이 발생한다는 부채자본시장(DCM) 업계의 문제 제기에 따른 조치다.
금감원은 위와 같은 캡티브 영업이 실제 불건전 영업행위 수준에 이르렀는지 등을 집중 검사할 계획이다. 앞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채권시장 캡티브 영업과 관련된 문제점을 올 상반기 검사 역량을 집중해 밝힘으로써 채권시장내 불공정한 부분을 개선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현장검사를 시작으로 종합금융투자사업자에 대한 검사가 순차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금융투자협회 공시 기준 지난해 증권사별 채권 발행 주관 실적은 KB증권,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현대차증권, 신한투자증권, 한양증권 순으로 많았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미래에셋증권과 삼성증권은 타 증권사 대비 캡티브 영업 논란이 적은 증권사”라며 “우선 금감원이 채권 영업이 어떤 식으로 이뤄지는 등 기초적인 사실 관계를 파악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