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0년까지 스마트과수원 특화단지를 60개 만들기로 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장관과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이 9일 충남 예산군 사과 과수원을 찾아 개화기 생육 상황을 점검하고, 스마트 농업 도입 현황을 살폈다.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안정적 과수 생산 기반 조성을 위해 2030년까지 스마트 과수원 특화단지 60개소를 조성하고, 재해예방시설 확대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이날 최 부총리와 송 장관이 찾은 예산 내포농원은 우박피해 방지시설, 햇빛차단망, 방조망, 방풍망 등 다양한 재해 예방시설과 함께 무인급수시설을 갖춘 대표적인 스마트 과수원이다. 두 장관은 이동형 열풍방상팬 등 주요 장비를 직접 점검하며, 생육 현황을 꼼꼼히 살폈다.
정부는 지난해 4월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을 발표한 이후 재해예방시설 보급, 계약재배 방식 개선 등 핵심 과제를 추진 중이며, 기후변화에 강한 과수산업 기반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현장에서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올해 배와 복숭아는 4월 초중순, 사과는 중하순에 만개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까지 생육은 순조롭다”고 설명했다. 다만 최근 산불 발생 지역이 주요 과수산지인 만큼, 정부는 피해 조사와 함께 수급 영향에 대한 정밀 분석에 나설 계획이다.
이에 최 부총리는 “과일은 체감 물가와 밀접한 만큼 안정적 공급 기반이 중요하다”며 “기후변화 속에서도 생산이 지속 가능하도록 스마트 과수원 확산과 재해예방시설 보급을 계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송 장관은 “산불에 따른 과수 직접 피해는 제한적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지만, 생육 관리를 철저히 해 농산물 수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스마트농업 확산과 신규 산지 육성 등 생산·공급 기반의 다각화를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최근 산불 피해가 집중된 울산, 경북, 경남 지역 농가의 조속한 영농 재개를 지원하기 위해 총 4천억 원 이상의 복구자금을 투입하고 있다. 오는 15일까지 피해조사를 마무리한 뒤, 주택·시설 복구 및 피해민 지원을 포함한 복구계획을 4월 중 확정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