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9일 “조선 분야는 대미 협상에서 굉장히 중요한 협상 카드”라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내수 시장이 작고 수출 비중이 높아 중국이나 유럽연합(EU)처럼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경우 ‘자해행위’가 될 수 있다는 견해도 내놨다.
안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미국의 상호관세와 관련해 “한미 양국의 조선 협력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안 장관은 “미국의 경우 조선 산업 역량이 2차 대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왔기 때문에 한국이 갖춘 조선 기술과 제조 역량에 대해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며 “안보 측면에서도 돈독한 동맹 관계를 강화하고 있어서 (미국에) 굉장히 큰 신뢰를 주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미국이 한국에 25%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한미 FTA가 사실상 파기된 것이 아니냐는 질의에는 “한미 FTA는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복 관세 부과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내놨다. 안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와 그동안 수차례 소통했지만 이번에 발표된 상호관세엔 우리 입장이 제대로 반영 안 된 것 같다”면서도 “보복관세 형태로 대응하는 경우, 한국처럼 무역 의존도가 높은 나라는 자해성 피해가 더 커질 수 있어 미국과 최대한 빨리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