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국산 후판에 최대 38.02%의 잠정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철강 품목에 부과된 반덤핑관세로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 중국산 저가 철강의 밀어내기 수출을 막겠다는 조치지만 미국에서 발발한 ‘관세 전쟁’이 한국과 중국·일본으로까지 전선을 넓힐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20일 제457차 무역위원회를 열고 현대제철이 제소한 ‘중국산 탄소강 및 그 밖의 합금강 열간압연 후판 제품’에 대해 27.91~38.02%의 잠정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7월 중국산 후판이 25.89% 싸게(덤핑률) 들어와 국내 기업들에 피해를 입히고 있다며 반덤핑 조사를 요청한 바 있으며 이번 잠정 관세는 덤핑률보다 더 높게 책정됐다. 정부가 중국 업체들의 저가 제품 밀어내기 공세가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 산업계에서는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현대제철과 포스코 등은 일단 안도의 한숨을 내쉬고 있는 반면 중국산 후판을 활용해 원가를 맞춰왔던 조선 업계에는 비상이 걸렸다. 조선 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국이 과도한 상계관세 부과를 빌미로 보복관세를 물릴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