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우선주의’를 외치는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지난달 20일 출범한 지 한 달이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 시간) 정부효율부(DOGE) 수장인 일론 머스크와의 사전 녹화 공동 인터뷰를 통해 정부 개혁 의지를 나타내는 한편 관세 폭격 계획을 구체화했다. 트럼프는 4월 2일 발표할 자동차 관세율에 대해 “25% 정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반도체·의약품 관세에 대해서는 “최소 25%가 될 것”이라며 1년에 걸쳐 인상 폭을 확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트럼프는 “기업들이 미국으로 와서 공장을 세우면 관세가 부과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약간의 기회를 주고 싶다”고 말했다. 관세 발효 시점까지 시간을 두고 해외 기업들의 추가 투자와 협상을 압박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폭격 계획 발표만으로도 철강에 이어 자동차·반도체 등 우리 주력 산업들이 흔들리고 있다. 자동차와 반도체는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 품목 1·2위이므로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면 한국 경제 위기가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에 따르면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면 지난해 대비 총수출액이 63억 5778만 달러(약 9조 1700억 원)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격에 더 이상 주저할 시간이 없다. 민관정(民官政)은 총력을 기울여 우리 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기업 생존을 위한 경쟁력 제고 전략을 찾아야 한다. 정부는 조선·방산·반도체·원자력·에너지 등 산업 협력과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확대 등 전략적인 ‘한미 윈윈 패키지’ 방안을 마련해 정교하게 협상해야 한다. 또 통상 분야의 양국 장관급 회담을 조속히 성사시켜 한국이 미국 제조업 부활의 최적 파트너임을 설득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범정부 차원의 경제안보 컨트롤타워를 가동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에 대한 시나리오별 협상 전략을 치밀하게 준비해야 한다. 우리 기업들은 미국 현지에 대한 직접 투자를 늘리되 ‘마더팩토리’를 국내에 둬 제조·연구개발의 핵심 역량을 유지하는 방안을 구체화해야 할 것이다. 19일 미국으로 출발한 민간 경제사절단은 대미 설득과 협상의 발판을 마련하는 동시에 정상 외교 공백을 메울 방안을 찾아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