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아이폰에도 차세대 문자 전송 서비스가 도입돼 삼성전자의 갤럭시 스마트폰과 대용량 파일 전송 및 채팅 형식의 메시지 주고받기가 가능해진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아이폰에도 기존 문자 메시지를 대체하는 ‘차세대 메시지 전송 서비스(RCS)’를 도입하도록 조치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난해 3월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 간 미디어 파일 전송 시 품질 저하 문제 등에 대한 신고를 접수해 실태점검을 진행한 데 따른 결과다.
RCS는 이동통신사의 단문 메시지(SMS)나 장문 메시지(MMS)보다 발전된 것으로 대용량 파일 전송이나 ‘작성중’, ‘읽음’ 표시 등 채팅 기능을 지원하는 문자 서비스다. 방통위는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 이용자 간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이동통신 3사와 애플 간 협의를 중재해 왔다. 이를 통해 애플에 △올 상반기 내 이동통신 3사가 RCS 기능을 점검할 수 있도록 베타 버전의 아이폰용 운영체제(iOS)를 배포할 것 △최대 300MB까지 대용량 파일 전송 기능을 지원할 것 △서비스 도입 과정에서 이동통신 3사와 지속적인 협의를 추진할 것을 권고하는 행정지도를 실시했다.
방통위에 따르면 애플은 아이폰 이용자들의 편익 증진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권고사항들을 준수해 올 하반기까지 국내 아이폰 이용자들이 차세대 문자 전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동안 한국에서는 갤럭시 스마트폰 이용자끼리만 RCS 방식의 문자·데이터 전송이 가능했다. 애플이 아이폰에도 해당 기능을 지원하게 되면 갤럭시 스마트폰과 아이폰 간에도 동일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 아이폰-갤럭시 스마트폰 간 문자메시지를 통한 파일 전송은 최대 용량 1MB인 장문 메시지(MMS)로 구동됐으나 애플이 RCS 기능을 지원하게 되면 최대 300MB의 대용량 파일 전송도 가능해진다.
이진숙 방통위원장은 “앞으로도 모바일 플랫폼 간 호환성 및 상호 운용성을 높여 이동통신서비스의 개방성을 높이고 이용자 편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