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이 커지자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은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으로 관세 부과 시 원가 상승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 시간) ‘상호 관세’ 부과 각서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4월 1일부터 자국 제품에 대한 각국의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을 고려해 국가별 맞춤형 관세를 적용할 계획이다.
다만 미국 정부는 의약품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아직 확실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10일 “의약품도 관세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밝혔지만 마이크 존슨 미 하원의장은 이틀 후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자동차·의약품 등 4개 품목이 상호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우리나라의 미국 수출 의약품은 대부분 바이오시밀러나 보툴리눔 톡신 등 바이오의약품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068270) 등 바이오의약품 회사들은 현지 상황을 주시하며 대응책을 논의하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내용이 정해지지 않았기에 예의 주시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셀트리온은 관세 정도에 따라 미국 현지 제조 업체와 협력해 완제품 일부를 생산하는 대안을 검토하고 있다.
케미컬 의약품인 ‘엑스코프리’를 미국에 수출하는 SK바이오팜(326030)은 “엑스코프리 제조에 필요한 원료의약품은 계열사가 모두 생산하고 있어 중국·인도 시장과의 연관성은 적다”면서도 관세 부과 시 미국에서 일부 물량을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제약 업계의 한 관계자는 “원가 압박이 큰 제네릭 의약품은 중국·인도와 경쟁이 어려워 수출 물량이 거의 없다”며 “대미 수출 의약품은 대부분 바이오시밀러와 케미컬 신약인 만큼 일부 물량 현지 생산과 경쟁사 움직임에 따른 가격 조정 등을 통해 대응하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