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의 영향이 비교적 덜하다고 알려진 남극마저도 최고 기온을 경신하며 온난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극지연구소는 지난달 1일 남극장보고과학기지의 최고 기온이 섭씨 8.1도를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지역의 1월 기온으로는 2021년 6.7도를 1도 이상 웃도는 역대 최고치다. 일 최고 기온이 7도를 넘어섰던 날만 4차례 있었다. 월 평균 기온도 역대 최고였던 2020년 12월의 영하 0.3도와 같았다.
장보고과학기지는 온난화의 영향이 비교적 덜하다고 알려진 동남극 지역에 있지만 이곳마저도 기온 상승과 이로 인한 생태계 영향을 수 없게 된 것이다. 한지현 장보고기지 제12차 월동연구대 총무는 “기지 영내와 주변에 쌓인 눈이 예전보다 눈에 띄게 감소했고 특히 눈이 빠르게 녹아 건물 주변 곳곳에 물이 고이는 현상이 빈번하게 목격됐다”고 전했다. 7년 만에 기지에 돌아은 그는 그간의 기후변화를 체감한다고 했다.
극지연구소는 남극 여름철인 지난해 12월과 지난달 맑은 날씨가 지속되고 눈이 적게 내리면서 지표면 가열과 푄 현상을 동반하는 강풍이 발생한 것이 고온 현상을 불러왔다고 추정했다. 푄 현상은 바람이 높은 산을 넘어가는 과정에서 고온건조하게 바뀌는 현상이다. 극지연구소는 남극 로스해 대기순환 변화가 이번 여름철 고온 현상과도 관련됐는지를 포함해 기지에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분석할 계획이다.
신형철 극지연구소장은 “장보고기지에서 최근 단기간에 예상치 못한 변화가 종종 나타나고 있다”며 “기후변화 풍향계로서 남극의 기지의 중요성과 역할을 되새기고, 기후변화 대응 등 연구소에 주어진 임무 완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장보고기지는 2014년 2월 12일 위도 74도 동남극 테라노바만에 개소한 한국의 두번째 남극과학기지다. 세계기상기구 정규 관측소로 등록된 이후 10년 넘게 전 세계에 기지 주변의 기상 정보를 제공하고 기후변화를 포함한 다양한 주제로 연구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