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6일(현지 시간) 이란산 원유를 중국에 수출하는 데 관련된 개인과 기업을 제재하기로 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첫 대(對) 이란 제재 조치로 트럼프 1기 당시의 최대 압박 정책이 재연될지 주목된다.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이날 성명을 통해 "이란 군부에 수억 달러를 지원하는 원유 네트워크를 제재한다"고 밝혔다. 재무부의 이번 제재는 이란의 국영 위장 기업 ‘세페르 에너지’에 초점이 맞춰졌다. 해당 기업은 이란 군부에 불법 자금을 대는 네트워크의 중심으로 2023년 말 OFAC의 제재 대상으로 지정됐다. 재무부는 석유 공급에 관여한 중국과 인도, 아랍에미리트, 이란 국적의 유령 유조선과 관리 회사, 개인들도 제재 대상에 포함시켰다.
OFAC는 제재 대상들이 매년 수백만 배럴의 이란산 원유 중국 운송을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이란산 원유의 최대 수입국이다. 미 재무부는 "이란 정권은 핵 프로그램 개발, 탄도 미사일과 무인 항공기 생산, 지역 내 테러조직 지원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석유 수익을 활용하는데 집중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태미 브루스 국무부 대변인도 성명에서 "우리는 문명화된 세계를 위협하는 핵무기 추구를 하는 (이란) 정권에 책임을 묻기 위해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사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미국이 대(對) 이란 제재를 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이란산 원유 판매를 다시 허용한 것에 대해 여러 차례 비난해 온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은 절대로 핵무기를 가질 수 없다”며 이란에 대한 초강경 대응을 예고해왔다. 이어 이달 4일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새로운 제재와 기존 조치의 강력한 집행을 통해 이란에 최대 압박을 가하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치에 대해 협상의 여지도 열어뒀다. 그는 “이란과의 새로운 협정을 추진하고자 한다”며 “모든 사람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지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