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을 안고 왔단다 내가 왔단다, 슬픔도 괴로움도 모두 모두 비켜라, 안 되는 일 없단다 노력하면은, 쨍하고 해뜰날 돌아온단다.”
‘해뜰날’과 ‘네 박자’ ‘유행가’ ‘차표 한 장’ 등 밝고 희망찬 노래로 50여 년 동안 국민들을 위로하고 힘을 줬던 가수 송대관(사진)이 7일 별세했다. 향년 79세.
송대관의 소속사 스타라인업엔터테인먼트는 고인이 이날 오전 세상을 떠났다고 밝혔다. 고인은 전날 컨디션 난조를 호소해 서울대병원 응급실로 이송됐으나 치료 도중 숨을 거뒀다. 사인은 심장마비로 알려졌다. 고인은 평소 지병이 있었으며 그동안 세 차례 수술을 받았지만 호전에 어려움을 겪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1946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난 고인은 어린 시절 소나무 껍질을 벗겨 먹고 지낼 정도로 가난했다. 조부인 독립운동가 송영근이 독립운동 자금을 대주다가 일본인들에게 모든 재산을 빼앗기면서 집안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어려운 환경에서 자랐지만 가수의 꿈을 포기하지 않았다. 끼와 재능을 인정받아 전주 KBS 전속 가수로 연예계에 입문했다. 이후 서울에 올라와 1967년 ‘인정 많은 아저씨’로 데뷔했으나 곧바로 대중의 사랑을 받지는 못하고 10년 동안 무명 시절을 보내다 1975년 발표한 ‘해뜰날’이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면서 그해 가수왕을 석권했다. 그러나 당시 가수들의 주요 수입원이던 극장쇼가 사양길로 접어들면서 돌연 미국 이민을 선택했다. 이후 이민 생활 10여 년 만인 1989년 귀국해 ‘정 때문에’ 등을 히트시키며 재기에 성공했다.
특히 고인은 1990년대 이후 발라드·아이돌 가수 위주로 가요계의 트렌드가 급변하면서 중견 가수의 활동 무대가 좁아지는 상황에서도 ‘네가 뭔데’ ‘차표 한 장’ ‘고향이 남쪽이랬지’ ‘유행가’ ‘네 박자’ 등을 꾸준히 성공시키며 트로트의 명맥을 이어갔다. 이 때문에 태진아, 고(故) 현철, 설운도와 함께 ‘트로트 4대 천왕’으로 불렸다. 최근 임영웅과 장민호 등 젊은 트로트 가수들로 인해 트로트가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태진아와는 절친한 친구이자 라이벌 구도를 형성해 TV 예능 프로그램과 무대에 콤비로 출연하는가 하면 합동 콘서트도 열어 젊은 세대에게도 인기를 얻었다. 고인은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MBC ‘10대 최고 가수왕’과 KBS ‘가요대상’ 성인 부문 최고가수상 등 많은 상을 받았고 2001년에는 옥관문화훈장을 수훈했다.
고인은 남진에 이어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제2대 대한가수협회장을 맡아 가수들의 권익 보호에도 앞장섰다. 회장 재직 당시인 2009년 일본 노래방에서 한국 가요가 무단으로 사용된 점을 지적하며 현지 법원에 손해배상청구소송을 내기도 했다.
송대관은 사망 전까지 활발하게 활동을 이어가 팬들을 비롯해 동료 가수들의 마음을 더욱 안타깝게 했다. 그는 지난해 11월 정규 앨범 ‘지갑이 형님’을 발매한 후 지난해 12월 KBS 1TV ‘가요무대’에 출연했다. 별세 19일 전인 지난달 19일에는 KBS 1TV ‘전국노래자랑’에도 출연했다.
고인은 최근까지도 신곡 ‘지갑이 형님’을 열창했던 터라 비보를 접한 동료 가수를 비롯해 팬들은 애통한 마음을 표했다. 라이벌 구도로 고인과 수많은 활동을 펼친 태진아는 이날 연합뉴스에 “저희 둘이서 정말 함께 많이 다녔다. 누가 뭐라고 해도 송대관 선배 하면 호남의 영웅적인 가수이자 대한민국 트로트계의 별 중의 별이었다”면서 “정말 마음이 아프다. 아침 밥상을 차려놨는데 숟가락을 들지도 못했다”며 비통해 했다. 현숙은 “송대관 오빠는 항상 따뜻한 분이고 굉장히 자존심이 강한 분이었다. 그런데 그 자존심으로 우리 가수들 자존심을 지켜줄 줄 아는 분이었다”며 “가요계에 큰 버팀목 같은 분이고 소나무 같은 사람이었다”며 고인을 떠올렸다.
박성서 대중음악평론가는 “송대관은 1970년대 우리나라가 ‘잘살아보세’라는 표어로 경제 성장에 매진할 때 이와 잘 어울리는 대표곡 ‘해뜰날’로 국민에게 힘을 실어줬다”며 “그는 서민적이고 친숙한 음악으로 사랑받은 자수성가형 가수의 대표 주자였다”고 평가했다.
유족은 아내 이정심 씨, 아들 진형·진석 씨 등이 있다. 빈소는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9일 오전 11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