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합작으로 대형 인공지능(AI) 인프라를 구축해 국내 기업의 글로벌 AI 기술 경쟁을 지원하는 국가AI컴퓨팅센터 사업이 조만간 착수된다. 네이버·카카오·SK텔레콤 등 정보기술(IT) 대기업들도 참여를 검토하기 위해 관련 사업설명회에 참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최대 2조 5000억 원 규모로 2027년까지 그래픽처리장치(GPU) 기반 AI 연산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민간도 49% 지분을 갖고 공동 추진하는 사업인 만큼 과기정통부는 이번 사업설명회를 통해 기업 참여를 독려할 방침이다.
네이버·카카오·SK텔레콤 등 플랫폼, 이동통신, 클라우드, 시스템통합(SI) 등 주요 AI 분야 대기업 임원이나 실무진 20여명, 이를 포함해 외국계 기업과 금융·투자업계 관계자까지 약 300명이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금융위원회, 산업은행, 기업은행, 한국전력공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등이 행사를 함께 개최했다.
과기정통부는 참여 기업을 모집하기 위해 이달 28일까지 사업참여의향서를 받는다. 의향서를 제출한 기업들은 향후 공모지침서를 받아 공모절차에 공식 참여할 수 있다. 이에 앞서 이날 과기정통부는 사업 주요 추진 내용과 신청 자격 및 절차, 전력계통영향평가 신청 방법 등의 세부 사항을 안내하고 현장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정부는 딥시크 쇼크 등 글로벌 AI 경쟁 심화에 대응해 국가AI컴퓨팅센터를 2027년 개소하되 그전인 연내에도 일부 인프라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조기에 개시할 방침이다. 기업과 연구자를 지원하고 국내 AI컴퓨팅 생태계를 육성한다. 국가AI위원회 산하 ‘AI컴퓨팅 인프라 특별위원회’가 관련 지원방안을 마련한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국가 AI컴퓨팅 센터로 대표되는 첨단 인프라에 뛰어난 인재, 소프트웨어 혁신이 더해질 때 우리나라가 인공지능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며 “국가 AI컴퓨팅 센터의 성공을 위해서는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며 민간과 정부가 긴밀하게 협력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