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알리바바 '오늘의집' 투자 불발…중국계 자금 끊는 K기업

■트럼프시대 'C머니 낙인' 공포

기존투자자들 中자금 유치에 반대

알리, 스타트업 파스토 투자도 삐걱

美차기내각 대중 강경파로 채워져

中투자 받을 땐 美사업 등 걸림돌

중국계 PEF 자금받은 기업들 비상





알리바바가 국내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의욕적으로 추진했지만 중국계 자금 유치에 부정적인 기존 투자자들의 반대에 잇따라 좌절됐다. 올 들어 대폭 늘어난 중국계 자금의 국내 투자 역시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 출범을 계기로 꺾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4일 투자은행(IB) 업계와 유통 업계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이달 초 오늘의집에 구주와 신주를 포함해 총 1000억 원의 투자를 추진했지만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의 자회사인 버텍스벤처스에 기회를 뺏겼다. 오늘의집 기존 투자자인 버텍스벤처스는 중국계 기업의 투자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며 미래에셋캐피탈이 내놓은 구주 200억 원을 대신 매입했다. 알리바바는 버텍스벤처스보다 높은 기업가치와 투자금을 제시하면서 올 상반기부터 오늘의집 투자를 논의해왔다.

알리바바 계열사인 알리익스프레스는 인공지능(AI ) 기반 풀필먼트 스타트업 파스토의 시리즈D 투자 참여 등 사업 협력을 추진하고 있지만 기존 투자자 중 일부가 부정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중국 기업으로부터 전략적투자(FI)를 유치하면 중국 진출에도 유리하다며 반겼지만 지금은 중국 쪽 투자를 받는 것이 상장 등 여러모로 유리하지 않다”고 전했다.

특히 미국 등 해외투자가들은 이미 과거 한 차례 중국 투자에 대한 정부 차원의 저지를 당한 경험이 있는 데다 트럼프 내각 인선이 중국 강경론자로 채워지자 극도로 몸을 사리는 모습이다.

실제 알리바바는 중국 내수 침체를 맞아 국내 진출 및 한국 상품의 해외 판매로 사업 보폭을 넓히기 위해 투자 대상을 물색해왔다. 그동안 알리바바가 그룹 차원에서 검토 대상으로 삼은 국내 기업은 홈플러스익스프레스, 명품 플랫폼 발란 등 온·오프라인 기업을 가리지 않는다. 틱톡을 운영하는 바이트댄스 역시 내년 쇼츠 커머스 ‘틱톡샵’의 국내 진출을 위해 관련 인허가를 준비하는 등 중국계 자본과 기업은 국내 진출에 적극적이다.





‘중국 제조 2035’로 불리는 ‘신질생산력(질적으로 업그레이드된 생산력)’을 국가 차원의 산업 전략으로 내세운 중국이 한국 등에 대한 해외투자와 진출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국내에서 중국 자금에 대한 기피 현상이 강화할 경우 자금 유입이 차단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올 들어 대폭 늘어난 중국계 자금의 국내 투자가 트럼프 정부 출범을 계기로 꺾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중국의 국내 외국인직접투자(FDI)는 신고 기준 2022년 14억 8100만 달러(약 2조 859억 원)에서 올해 3분기 누적 45억 7300만 달러(약 6조 4419억 원)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 미국은 86억 8500만 달러(약 12조 2328억 원)에서 31억 1600만 달러(약 4조 3888억 원)로 급감하면서 중국이 미국을 앞질렀다.

기존 중국계 자금을 유치한 국내 기업들의 경우 향후 미국 진출 등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중국계 대형 PEF는 국내의 플랫폼뿐만 아니라 2차전지·게임·친환경 분야 등 하이테크 산업에도 대규모 투자를 이어왔다. SK온의 경우 2023년 MBK파트너스의 주선으로 중국계 PEF인 힐하우스캐피털로부터 5000억 원의 투자를 받았다. 그러나 앞으로 미국 진출에 따른 세액공제 등 각종 혜택이 줄어들 수 있으며 중국계 투자가 불리할 수 있다. SK온에 투자한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 이후 정치적 위협이 SK온의 미국 사업에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게임 업계는 2010년 이후부터 꾸준하게 텐센트 등 중국 기업의 투자를 받아왔다. 현재 시총 상위 10곳 중 크래프톤·넷마블·카카오게임즈는 텐센트 홀딩스 및 계열사가 2·3대 주주다. 또 다른 중국계 밴처캐피털(VC)인 세쿼이아차이나는 강남언니·컬리 등에 초기 투자했다. 실리콘밸리 기반 VC인 세쿼이아의 중국 사업부였던 세쿼이아차이나는 최근 미국 본사에서 독립하고 이름을 홍샨으로 바꾸면서 세쿼이아 브랜드를 포기했다. 미중 갈등이 고조되자 각자도생을 선택했다는 게 업계의 해석이다.

미국의 기관투자가 중 하나인 스탠퍼드매니지먼트의 한 관계자는 “이미 조 바이든 정부부터 중국에 투자는 물론 교류도 하지 말라는 방침”이었다며 “실리콘밸리의 VC에는 중국계 자본을 출자 받았다면 활동하지 말라는 것”이라고 전했다. 업계에서는 미 정부가 중국 자본의 출자를 받거나 중국에 투자한 VC를 조사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