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일도 안하고, 구직 활동도 하지 않고 '그냥 쉬었다'는 청년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들 중 75%는 일하기를 원치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청년층(15∼29세) 가운데 '쉬었음' 인구는 작년 동월보다 4만2000명 늘어난 44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쉬었음 청년 규모는 코로나19때를 넘어서며 같은 달 기준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다. 쉬었음은 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 중 중대한 질병이나 장애는 없지만 막연히 쉬고 싶은 상태에 있는 사람들을 말한다.
7월 쉬었음 청년은 2013∼2017년 20만명대였다. 하지만2018년 30만명을 넘어섰고 코로나19 첫해인 2020년 44만1000명까지 늘었다가 2022년 36만1000명으로 줄었다. 하지만 작년(40만2000명)부터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도 많은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지난달 40대 쉬었음 인구는 28만4000명으로 전 연령대 가운데 가장 적었고, 30대도 28만8000명으로 나타났다. 50대는 39만4000명을 나타냈다. 청년층 인구는 줄어들고 있는 반면 쉬는 청년은 되레 늘면서 그 비중은 역대 최고 수준이 된 것이다.
지난달 청년층 인구 815만명 가운데 쉬었음 청년(44만3000명)이 차지하는 비중은 5.4%였다. 7월 기준 가장 많은 수준이다.
청년층의 쉬었음 비중은 2019년 4.1%, 2020년 5.0%로 늘었다가 2022년 4.2%까지 줄었다. 하지만 작년(4.8%)부터 늘더니 올해 다시 5%대로 진입했다.
고용동향 마이크로데이터(MD)로 분석한 결과 쉬는 청년은 단순히 양적으로 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할 의사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쉬었음 청년(44만3000명) 가운데 일하기를 원했느냐는 질문에 '아니다'라고 답한 이들은 33만5000명에 달했다. 75.6%가 구직 의사가 없었다는 의미다.
나머지 일하기를 원했던 쉬었음 청년을 대상으로 일자리를 찾지 않은 이유를 조사했더니 '원하는 일자리가 없을 것 같다'는 답변이 가장 많이 나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