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수행 긍정 평가가 보름만에 4%포인트 하락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0일 나왔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폴란드·우크라이나 순방과 핵협의그룹(NCG) 개시 등 외교 성과에도 불구하고 잇따른 수해와 양평 고속도로를 둘러싼 논란 탓에 국정 수행 평가가 부진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내년 4월 진행될 총선에 대해서는 정권심판론과 정권안정론이 모두 40%초반대로 팽팽하게 맞섰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17~19일 성인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발표한 7월 3주차 전국지표조사(NBS)에 따르면 윤 대통령 국정 운영 긍정 평가는 34%(매우 잘함 14%, 잘하는 편 21%)로 7월 1주차 조사(38%)에 비해 4%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부정 평가는 51%에서 54%(매우 못함 32%, 못하는 편 22%)로 3%포인트 늘었다. 이로써 긍·부정 격차는 20%포인트까지 벌어졌다.
윤 대통령의 국정수행을 긍정적으로 바라본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결단력 있음(17%)’, 일관성이 있고 신뢰가 감(7%), ‘공정하고 정의로움(5%)’ 등을 꼽았다. 국정 운영을 잘 못한다는 반응을 보인 유권자들은 ‘독단적이고 일방적(18%)’, ‘경험과 능력 부족(17%)’, ‘국민과 소통 부족(11%)’, ‘편파적(9%)’등이 문제라고 생각했다.
내년 4월에 있을 총선에 대해서는 정권안정론이 42%, 정권심판론이 43%로 팽팽히 맞섰다. 잘 모르겠다는 반응은 15%였다. 지난 조사에 비해 정권안정론은 4%포인트 하락하고 정권심판론은 2%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유권자 과반 이상은 북한과의 통일 방식에 대해 ‘자유롭게 왕래가 가능한 2국가(58%)’가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밝혔다. 통일된 단일 국가로 살아가야 한다는 대답은 18%에 그쳤다. 현재와 같은 2국가 체제를 유지하자는 비율은 12%였다.
한편 국토교통부가 논란이 된 서울-양평 고속도로 건설 계획을 백지화 한 것에 대해 응답자의 55%는 “교통망 개선에 필요한 사업이므로 어떤 노선이든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의혹이 있으니 백지화해야 한다는 반응은 25%였다.
이번 조사의 표본은 국내 통신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해 무작위 추출했다. 조사는 전화면접조사 방법으로 실시했으며 응답률은 16.9%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틍쳤다. 여론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NBS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