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과 한국문화재재단은 오는 7월부터 10월까지 공주·부여·익산을 잇는 백제역사유적지구와 함께 순천, 수원, 제주에서 ‘2023년 세계유산축전’ 행사를 연다고 21일 밝혔다.
지난 2020년에 시작해 올해로 4번째를 맞는 세계유산축전은 국내 세계유산을 주제로 한 공연·체험·전시 등 문화행사다. 대상 지역은 지자체의 신청을 받아 선정하는데 올해는 전국 4군데에서 진행된다. 다만 서울은 별도다.
올해 세계유산축전은 7월 7일 백제역사유적지구에서 막을 올린다. 고대 백제 왕국의 숨결이 서려 있는 공주 공산성과 무령왕릉, 부여 정림사지, 익산 미륵사지 및 왕궁리 유적 등에서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사전 행사로 6눵 23일부터 열리는 국제조형예술심포지엄에서는 '백제역사유적지구를 바라보는 세계인의 시선'을 주제로 12개국 출신 작가가 만든 조각 작품을 만날 수 있다.
경기도 수원은 지난 2021년부터 3년 연속으로 축전을 진행한다. 수원에서는 9월 23일부터 ‘의궤가 살아있다: 수원화성, 이어지다’를 주제로 한 축전이 열린다. 전통 음악과 현대적 공연이 어우러진 ‘기억의 축성’(9.23∼24)을 시작으로 성곽을 걸으며 축성 227년의 역사를 되새기는 ‘수원 화성의 기억을 걷다’(9.23∼10.14) 등이 관람객을 맞는다.
전남 순천은 올해 처음으로 참여했다. 세계유산에 등재된 순천 갯벌과 선암사에서는 8월 한 달간 ‘일류 순천, 세계유산을 담(湛)다’를 주제로 세계유산의 가치를 전한다.
또 세계자연유산인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일대에서는 10월 3∼8일 엿새간 걷기 여행, 순례·체험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성산리, 김녕리 등 마을 7곳에서는 지역 주민이 함께 참여할 예정이다.
최응천 문화재청장은 21일 서울 중구 한국의집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코로나19 이후 본격적인 일상 회복이 시작된 뒤 처음 개최되는 올해는 더 많은 관람객과 호흡하며 세계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나눌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내 최다의 세계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서울은 별도로 ‘궁중문화축전’이라는 이름으로 세계유산 행사가 치러진다. 올해 9회째다.
봄·가을 두번 진행하는 데 봄 행사는 지난 4월 29일부터 5월 7일까지 경복궁·창덕궁·창경궁·덕수궁·경희궁 등 5대 고궁과 종묘, 사직단 일대에서 다채로운 전통문화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가을 궁중문화축전은 오는 10월 예정돼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