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미래 먹거리 발굴 성과가 보이지 않습니다. 대책이 무엇입니까.” “인수합병(M&A)이 계속 부진합니다.”
15일 경기도 수원시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삼성전자 주주총회 현장. 이날 120분간 열린 행사에서 주주 600여 명의 송곳처럼 날카로운 질문을 받은 삼성전자 주요 경영진은 진땀을 뺐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8.92%나 하락한 4조 3100억 원을 기록했다. 물가·금리 상승으로 인한 글로벌 정보기술(IT) 수요가 급격하게 쪼그라들면서 실적이 대폭 악화한 것이다.
게다가 증권 업계 일각에서는 올해 1분기에는 회사가 적자를 볼 수도 있다는 소문까지 돌면서 주주들은 행사장으로 한걸음에 달려와 답답한 마음을 토로했다. 한 삼성전자 주주는 2021년 초 9만 원을 돌파했던 삼성전자 주가가 어느새 6만 원대에 턱걸이하는 사실을 내세우며 “삼성전자는 주가 관리를 어떻게 하는 것이냐”며 “주주들을 물로 보는 거냐”고 소리 치기도 했다.
주주총회 의장을 맡은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 대표로 나온 이정배 메모리사업부 사장 등 경영진은 올해 시장 불확실성을 언급하면서도 주주들의 우려를 안심 시키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한 부회장은 “말씀해주신 내용을 저희도 다각도로 고민하고 있으며 회사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심도 있게 검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삼성전자 경영진은 미래 먹거리 발굴 계획, 수년째 전무한 대형 인수합병(M&A) 추진에 대한 주주들의 질문이 쏟아지자 로봇, 인공지능(AI), 자동차 부품(전장) 등 크게 세 가지 사업 확장에 공을 들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 부회장은 향후 본격화할 로봇 시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다양한 로봇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있고 고객이 실생활에서 로봇 경험을 확대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로봇 상용화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올해부터 로봇사업화 태스크포스(TF)를 ‘로봇사업팀’으로 격상했다. 올해 초에는 590억 원을 투자해 레인보우로보틱스라는 국내 로봇 회사의 지분 10.22%를 인수했다. 사내 신제품 로봇 개발에도 한창이다. 한 부회장은 “올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렸던 CES 2023 전시회에서도 말씀드렸듯이 보행 보조 로봇 등 다양한 제품군의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경영진은 또 자동차 전장 산업도 제시했다. 전장 사업은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 부문과 DS 부문 모두 주목하고 있는 시장이라고 밝혔다. 한 부회장은 전장용 오디오 전문 회사인 자회사 하만에 대해 “지난해 반도체 공급 부족, 물류망 마비 현상에도 불구하고 2016년 인수 이후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평가하며 “제품, 원가 경쟁력 강화에 매진하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본다”고 관측했다.
이 사장도 “DS 부문에서 칩 사업을 담당하는 시스템LSI 사업부는 맞춤형 칩 개발로 신사업 역량 강화와 사업 규모의 확대를 노린다”고 전했다. 삼성전자는 세계적인 반도체 설계 기업 퀄컴에서 자율주행 칩 전문가인 베니 카티비안 부사장을 영입하며 차량용 반도체 사업의 확대에 공을 들이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와 함께 유럽 최대 완성차 업체인 BMW와 차량용 반도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삼성전자 측은 AI 분야 사업 확장을 위한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 사장은 지난해 11월 출시 이후 AI 시장을 강타한 생성형 AI ‘챗GPT’ 시너지를 예로 들었다. 그는 “챗GPT는 삼성전자 제품, 서비스와도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런 대규모 AI 모델은 미래 반도체 수요에도 매우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삼성전자 DS 부문은 불황에도 불구하고 중장기 관점에서 꾸준한 설비투자를 이어가겠다는 전략도 내놓았다. 이 사장은 “설비투자는 시황 변동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하되 클린룸 확보, 미래 투자는 지속할 것”이라면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사업은 인프라 선제 구축을 통한 생산능력 확보로 고객 수요에 적기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