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견기업의 양적·질적 성장을 위해 2027년까지 1조원 규모로 조성하겠다고 밝힌 ‘중견기업 도약지원 펀드’가 민간투자를 확대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3일 한국중견기업연합회에 따르면 권종호 한국중견기업학회장은 10일 중견련과 학회가 공동 개최한 전문가 좌담회에서 “중견기업도약지원펀드의 실효성을 높이려면 빠른 자금 회수를 위한 세컨더리펀드(투자 자금을 회수하지 못해 자금난을 겪는 벤처캐피탈이나 사모펀드가 보유한 회사의 지분을 인수한 뒤 지분 가치가 올라가면 팔아 차익을 얻는 펀드)를 조성하고 코스닥이나 코넥스 시장에 중견기업 전용 시장을 개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날 좌담회에 참석한 박정무 기보스틸 부사장 역시 “중견기업도약지원펀드의 실효적 운영을 위해서는 민간 자본과 기업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세제 혜택과 인센티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윤석열 정부의 첫 번째 중견기업 육성 정책 패키지인 ‘중견기업 중장기 육성 비전’을 발표했다. 2030년까지 중견기업 수를 1만개로 늘리고, 수출을 2000억 달러까시 확대하겠다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향후 10년간 1조5000억 원의 연구·개발(R&D) 지원 자금을 투입하기로 했다. 또 중견기업이 신사업 진출을 위한 투자 재원을 마련할 수 있도록 산업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협력해 2027년까지 1조 원 규모의 중견기업 도약지원 펀드를 조성하겠다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중견기업 도약지원 펀드’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민간 투자 유인을 확대하고 중견기업 현장의 의견을 바탕으로 정부와 긴밀히 소통해 정책 실효성을 제고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