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일자리로 고충을 겪는 노숙자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거리 노숙인의 42%가 노숙하게 된 사유로 ‘실직’을 꼽았다.
보건복지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1년도 노숙인 등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노숙자 수는 8956명으로 2016년(1만 1340명) 대비 2384명 감소했다. 이들 중 노숙인 생활시설에 입소한 이들이 7361명(82.2%)으로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거리에서 노숙하거나 노숙인 이용시설에 거주하는 이들이 1595명(17.8%)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6439명으로 전체의 71.9%를 차지했고 여성은 2493명으로 27.8%의 비중을 보였다. 노숙인 전체의 48.4%인 4331명이 수도권에서 생활 중이며, 특히 거리 노숙인의 74.6%(1189명)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거리 노숙인의 경우 전체의 66%는 ‘거리·광장’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평균 거주기간은 122.8개월로 10년을 훌쩍 넘겼다. 지하공간(17.7%), 공원·녹지(10.0%), 건물 내부(4.3%) 순으로 뒤를 이었다.
노숙인들에게 있어 2020년부터 본격화한 코로나19로 인해 줄어든 일자리가 큰 문제인 것으로 조사됐다. 일상생활의 어려움(5점 만점)으로 평가한 조사에서 ‘구직’이 2.0점으로 가장 높았고, ‘의료서비스 이용’(1.6점), ‘사회복지시설 이용’(1.3점)으로 뒤를 이었다. 노숙인의 미취업률도 2016년 61%에서 13.1%포인트 증가한 74.1%로 급상승했다.
일자리를 잃어 노숙인이 된 비중 또한 늘었다. 노숙하게 된 가장 결정적인 사유로 ‘실직’을 꼽은 거리 노숙인 비중은 2016년 26.0%에서 2021년 42.4%로 급증했다. ‘사업실패’라 답한 거리 노숙인 비중도 14.8%에서 19.0%로 늘었다. ‘이혼 및 가족해체’ 비중의 경우 13.2%에서 8.8%로 줄었다.
코로나19는 노숙인들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률 또한 저해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사회복지서비스 이용률을 보면 현물지원이 2016년 88.2%에서 60.2%로 하락했다. 주거지원 서비스 이용률은 43.4%에서 17.6%로 정신보건서비스는 43.6%에서 20.9%로 하락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전체 노숙인의 규모가 감소하고 있지만, 성별·나이·노숙 기간 등 특성을 고려한 복지 서비스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노숙 기간의 장기화를 막기 위해 현장 보호활동을 강화하고, 노숙 초기 단계에 조기에 개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