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 한복을 입은 여성을 출연시킨 것에 대해 청와대가 “한복이 우리 전통의 의복문화라는 것은 전 세계가 인정하고 있는 사실”이라는 원론적 입장을 내놓았다. 국내에 반중 정서가 고조되고 있지만 중국 측에 적극 항의하는 모양새는 연출하지 않았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7일 베이징올림픽 한복 논란과 관련해 “재론의 여지가 없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관련 부처에서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중국은 지난 4일 올림픽 개회식에서 한복을 입은 여성이 중국 오성홍기를 전달하는 장면을 내보냈다. 조선족을 고려한 듯 세계인의 축제에 한복을 입은 인물을 중국 내 56개 민족 대표 중 한 명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러자 국내에서는 ‘중국이 한복을 자신들의 것이라고 주장한다’는 불만이 쏟아졌다. 개회식에 참석한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현지에서 기자들과 만나 외교적으로 항의할 계획이 있냐는 물음에 “그럴 필요까지는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대답해 논란을 키웠다.
일각에서는 중국의 ‘동북공정’ 시도에 빗대 ‘문화공정’이라는 우려까지 나왔다. 이에 외교부는 “문화 관련 논쟁 동향을 면밀하게 모니터링 중”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