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 감축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유럽 등에서 에너지 대란으로 탈 탄소 속도조절론이 대두하고 있는 가운데 세계 1·3위 탄소배출국인 중국과 인도가 나란히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제출 요구를 거부했다. 이에 따라 이달 31일 열릴 ‘제26차 기후변화협약 총회(COP26)’에서 성과 도출이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다만 COP26 개막 직전 주요 20개국(G20) 정상들이 화석연료 보조금의 단계적 폐지에 합의하면서 협상의 끈을 이어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즈(FT)에 따르면 중국과 인도가 온실가스 감축 요구를 거부하고 나섰다. 앞서 중국은 2060년에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발표했지만,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최대치로 늘린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중국은 2025년까지 석탄 생산도 늘리겠다는 입장이다.
인도 역시 탄소배출 감축 요구에 반발하는 상황이다. 부펜데르 야다브 인도 환경부 장관은 “탄소중립이 기후위기의 근본적 대책이 될 수 없다”며 넷제로(온실가스 순배출량 ‘0’) 목표 설정 자체를 거부했으며 ‘부자 국가 책임론’을 들고 나왔다. 그동안 기후변화를 초래한 탄소의 대부분은 산업혁명 이후 서방 선진국에서 배출된 만큼, 이제와서 후발주자인 개발도상국들에 탄소배출 감축을 요구할 수 없다는 뜻이다. 러시아와 브라질 등 다른 개도국들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서 선진국의 자금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면서 선진국과 개도국 간 주도권 싸움이 심화하는 모양새다.
이같은 상황에서 G20 정상들은 가장 낮은 수위의 대책으로 화석연료 보조금의 단계적 폐지 방안을 내놨다. 각국 정상은 기후 재앙을 막기 위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을 1.5도 이내로 억제해야 한다는 데에는 동의했다. 하지만 공동성명 초안의 ‘2050년’ 부분이 괄호로 처리돼 있어 이행 기간이 여전히 협상 대상임을 나타내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