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003490)과 현대오일뱅크가 친환경 연료인 바이오 항공유 사용 확대를 위해 손을 잡았다.
두 회사는 30일 서울 강서구 대한항공 본사에서 바이오 항공유 활용과 제조 기반을 마련하는 데 협력하기로 하고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체결식에는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과 강달호 현대오일뱅크 사장이 참석했다. 대한항공과 현대오일뱅크는 바이오 항공유 규격 제품 생산과 상용화를 위한 연구와 조사, 공항 내 급유 인프라 구축은 물론 관련 정책 대응에도 함께하기로 했다.
양사가 손을 잡은 배경에는 글로벌 탄소 배출 저감 움직임이 있다. 유엔(UN) 산하 국제민간항공기구는 오는 2027년 국제 항공 탄소감축 상쇄 제도 의무 시행을 앞두고 있다. 항공 온실가스 배출량을 지난 2019년 수준으로 동결하는 것이 제도의 핵심 목표다. 바이오 항공유는 동물성 지방과 식물성 기름 등 바이오매스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원료 수급부터 생산, 소비 등 전 단계에 걸쳐 기존 항공유 대비 탄소 배출을 80%까지 줄일 수 있다. 항공사들이 국제민간항공기구 요구를 맞추려면 바이오 항공유 비중을 늘려야 한다. 대한항공으로서는 바이오 항공유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고, 현대오일뱅크는 화이트 바이오 사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졌다. 현대오일뱅크는 충남 대산 공장 내에 바이오 항공유 생산 전용 공장 건설을 검토하고 있다.
강 사장은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은 결과적으로 정유사에도 큰 기회가 될 것”이라며 “대한민국 항공산업을 대표하는 대한항공과 함께 변화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