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친환경 드라이브’가 중국이라는 암초에 부딪혔다. 미국은 친환경 에너지의 대표격인 태양광 산업을 키워야 하는 상황인데 태양광 패널 공급망이 인권 침해 의혹을 받고 있는 중국 신장에 대거 몰려 있는 탓이다.
미중 갈등의 불똥이 태양광으로 옮겨붙어 공급이 제한되면 가뜩이나 오름세인 원자재 가격이 앙등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지난 21일(현지 시간) 미 정치 전문 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중국 신장에서 생산되는 태양광 패널의 핵심 원료인 폴리실리콘의 수입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미국은 이미 신장산(産) 면화와 토마토 가공품의 수입을 금지하고 있는데 품목을 늘리는 것이다.
바이든 행정부의 이번 움직임은 중국 신장에서 불거지는 인권 침해 논란에 따른 것이다. 앞서 미 컨설팅업체 호라이즌 어드바이저리는 “신장에 기반을 둔 폴리실리콘 제조업체 4곳이 모두 강제 노동과 관련된 활동이나 단체와 관련이 있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의회에서 중국산 태양광 패널 구입을 전면 금지하자는 법안까지 발의되자 바이든 행정부가 검토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조치는 영국과 프랑스 등 주요 국가로 확대될 수 있다. 앞서 주요 7개국(G7)은 영국 콘월에서 정상회의를 한 뒤 공동성명을 통해 “전 세계 공급망에서 강제 노동이 사용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문제는 중국이 폴리실리콘 생산의 큰 비중을 맡고 있다는 점이다. 독일 시장조사업체 베른로이터에 따르면 전 세계에 공급되는 폴리실리콘 중 45%가 중국 신장에서 생산된다. 중국 전역으로 확대하면 중국의 폴리실리콘 생산 점유율은 80%로 커진다. 미국의 수입 제한 조치에 중국이 반발해 미국으로의 폴리실리콘 수출을 원천 차단해버리면 미국의 친환경 사업에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 가뜩이나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태양광 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폴리실리콘 공급이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해지면 가격이 급등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폴리티코는 미국이 신장산 폴리실리콘 수입을 규제할 경우 “앞으로 10년간 미국 내 태양광 발전을 현재의 4배로 늘린다는 바이든 행정부의 계획이 흔들릴 것”이라며 “오는 2035년까지 화석연료 발전을 중단하려는 계획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진다”고 지적했다.
/곽윤아 기자 ori@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