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MB) 정부 시절 국정원의 불법 사찰 의혹에 대한 여야의 공방이 연일 격화하고 있다. 여당은 19일 “이명박 정부 이전에도 국정원의 불법 사찰이 있었다면, 국정원이 똑같이 정보를 공개할 것을 요청한다”며 야당의 의혹 제기에 정면 돌파를 선언했다.
김태년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 기관의 불법 사찰은 선거도 여야의 문제도 아닌, 민주와 독재의 경계에서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는 문제”라며 “민주당은 불법 사찰의 진상 규명을 위해 당당하게 나설 것”이라고 이같이 목소리를 높였다.
이낙연 대표 역시 “MB 정부 불법사찰 의혹이 갈수록 점입가경”이라며 “지금 나오는 사찰 정보들은 법원의 판결에 따라 공개되는 것인데, 야당은 선거를 염두에 둔 정치공세라고 비난하고 있다. 참으로 허무맹랑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것은 마치 달도 해도 선거에 맞춰서 뜨고 진다는 얘기와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
신동근 최고위원은 “국정원의 비공개 보고 정도로 그쳐서는 안 된다”며 “당 차원에서 MB 정부 당시 국회의원 등을 했던 선출직에 정보 공개를 요구하도록 독려해 사찰 자료를 받게 해야 한다”고 날을 세웠다. 국회 정보위원장인 김경협 의원은 KBS 라디오에서 야권의 ‘정치공세’ 주장에 대해 “대법원 판결이 난 시점과 국정원이 판결에 따른 정보를 제공할 수밖에 없던 시기가 금년 초부터”라며 “재보선과 아무런 상관도 없다. 대법원이 재보선에 맞춰서 판결했다고 볼 수도 없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강지수 인턴기자 jisuka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