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인터내셔널이 미얀마 가스전 3단계 개발을 추진한다. 압력이 낮아져 생산성이 떨어진 가스전에 추가 설비를 덧대 생산량을 끌어올리는 작업이다. 포스코그룹은 이를 통해 그룹 핵심 성장 사업인 액화천연가스(LNG) 사업의 가치 사슬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27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최정우 포스코 회장, 권오갑 현대중공업지주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포스코인터내셔널과 현대중공업의 미얀마 가스전 3단계 개발을 위한 설계·구매·제작·설치·시운전(EPCIC)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 규모는 약 5,000억원이다.
이번 사업의 핵심은 헐거워진 미얀마 가스전에 가스 승압 플랫폼 및 추가 설비를 설치하는 것이다. 가스 승압 플랫폼은 미얀마 가스전의 누적 생산에 따라 압력이 낮아진 저류층(원유나 천연가스가 지하에 모여 쌓여 있는 층)에서 가스를 추가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다. 현대중공업은 기존 플랫폼 인근 지역에 가스 승압 플랫폼 및 연결 브리지 등 추가 설비를 오는 2024년까지 설치할 예정이다.
미얀마 가스전은 1단계 개발을 통해 지난 2013년부터 상업 생산을 시작해 일일 약 5억 입방피트(ft³)의 가스를 중국과 미얀마에 공급하고 있다. 연간 3,000억~4,000억 원 수준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는 등 포스코그룹 가스 사업의 캐시카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미얀마 가스전 1단계 개발 시 해상 플랫폼을 설치한 바 있는 현대중공업그룹은 세계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양 유전 및 가스전 개발 설비 등 다양한 해양 구조물을 성공적으로 설치한 경험을 인정받아 3단계 개발에 참여하게 됐다.
미얀마 가스전은 2022년을 목표로 추가 생산정을 개발하는 2단계 사업을 진행 중이다. 또 미얀마 가스전에서 남쪽으로 약 30km 거리에 위치한 마하 구조의 평가 시추를 앞두고 있어 기존 가스전 생산 설비와의 연계 개발을 통한 추가 확장이 기대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미얀마 가스전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동남아시아, 호주, 미국 등 핵심 지역의 신규 탐사 및 개발 자산 매입을 통한 대체 매장량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개발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해 포스코그룹 LNG 사업의 핵심인 미얀마 가스전이 안정적인 가스 생산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오갑 현대중공업지주 회장은 “친환경 분야에서 사업의 기회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만큼 다양한 기술 개발과 과감한 투자를 통해 시장 내 입지를 확고히 다져 나가겠다”고 했다.
/한동희 기자 dwis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