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영찬 연구원은 “최근 2년간 정제마진이 하락했고 신규 고도화 설비의 가동 중단 등이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그러나 IMO2020 환경강화 정책으로 인해 해운사들의 선박용 경유 수요가 하반기부터 증가해 정제마진도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내년 미국 원유수출 증가에 따른 서부텍사스유(WTI) 가격 상승은 미국 정제설비의 원가 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른 미국의 휘발유 수출 감소로 아시아 휘발유 수익성 상승이 예상된다. 내년 중국의 휘발유 수출은 올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판단했다. 백 연구원은 “중국은 내년 7월부터 차 배기가스 규제를 강화할 예정”이라며 “여기에 휘발유 품질강화 정책도 동시에 실시함에 따라 노후화된 독립 정유기업의 생산 감소와 설비폐쇄가 진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경훈기자 socoo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