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청년 주거불안 해소책으로 내놓은 ‘역세권 청년주택’이 본격적으로 수요자를 찾아간다.
시는 올해 하반기 5개 지역 역세권 청년주택 2,136가구의 입주자를 모집한다고 31일 밝혔다. 올 하반기 모집공고 대상은 △구의동 84가구(공공 18가구, 민간 66가구) △충정로3가 523가구(공공 49가구, 민간 474가구) △서교동 1,121가구(공공 199가구, 민간 922가구) △용답동 170가구(공공 22가구, 민간 148가구) △숭인동 238가구(공공 31가구, 민간 207가구)로 총 5개 사업이다. 실제 입주는 내년 1·4분기에 이뤄진다. 신청자 소득 기준 등 입주요건 심사를 거쳐야 하므로 모집공고는 준공 6개월 전에 낸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시가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완화, 절차 간소화, 건설자금 지원 등을 제공하면 민간사업자가 대중교통이 편리한 역세권에 주거면적 100%를 공공·민간 임대주택으로 지어 청년층에 우선 공급하는 사업이다.
시에 따르면 오는 2022년까지 8만 가구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2017년 2월 사업계획 최초 승인이 있었고 올해 상반기까지 사업시행 인가가 완료된 곳은 37개 사업, 1만 4,280가구다. 시가 이 기간 사업인가 기준 공급 목표로 잡았던 3만 500가구의 46%에 해당한다. 또 유관기관 협의 등 현재 사업시행인가를 위한 행정절차가 진행 중인 6,800가구를 더하면 목표달성률은 68%(2만800가구)가 된다.
한편 현재 사업시행인가가 완료된 1만 4,000가구 가운데 약 7,800가구는 건축공사를 진행 중이며, 나머지 6,200가구는 굴토심의, 건축물구조심의, 시공사 선정 등을 거쳐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주원기자 jwoonmai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