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교수가 서울대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신민균 박사 연구팀, 나노바이오연구실 박상윤 교수, 베트남 연구팀과 함께 개발한 한지를 기반으로 하는 섬유형 슈퍼커패시터는 한지에 탄소 소재인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를 코팅해 금속 집전체 없이도 전기가 통하도록 했다. 슈퍼커패시터는 친환경 전기자동차와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활용되는 전기 에너지 저장 소자를 말한다.
한지는 일반 종이에 비해 작은 빈틈이 많아 탄소 소재가 내·외부 전체적으로 흡수돼 균일하게 코팅된다. 또 질기고 내화학성이 뛰어나다는 장점도 갖고 있다.
박 교수 등이 개발한 한지 섬유는 기존 섬유형 슈퍼커패시터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충·방전 시간 역시 기존 저장 장치보다 빠르다.
박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섬유형 슈퍼커패시터는 각종 직물을 기반으로 하는 웨어러블 센서에 전력원으로 활용돼 스마트 의류나 착용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한다”며 “대량생산도 가능해 실제 상업화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