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무풍지대’ 인천의 부동산 시장이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정부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일부 지역을 투기과열지구와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하자 이를 비껴간 인천이 반사이익을 누릴 것이라는 일각의 예상도 있었지만 최근 집값은 하락세만 나타나는 중이다. 특별한 호재가 없어 투자 수요 유입이 사라진 데다 공급물량까지 크게 늘어 시장 침체를 더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8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6월 인천의 아파트값은 0.03% 떨어졌다. 지난 4월(-0.03%)부터 3개월 동안 하락세가 지속하는 것이다. 감정원의 주간상승률 조사에서도 상승과 보합을 오가던 올해 초와 달리는 4월 1주부터 약세만 보이고 있다.
실제 검단신도시가 있는 서구 마전동의 ‘검단금호어울림’(전용 84㎡ 단일평형)의 실거래가격은 3월 2억 7,000만원에서 6월 2억3,700만원으로 떨어졌다. 부평구 ‘부개역푸르지오’ 전용 84㎡는 1월 4억5,500만원에 실거래가 이뤄졌는데 최근 호가는 4억3,000만원까지 내려갔다.
인천 시장을 떠받치던 송도신도시에서도 사정은 매한가지다. 송도 일부 단지에서는 마이너스 프리미엄의 분양권이 나오는 등 가라앉은 분위기가 역력한 모양새다. 이에 ‘힐스테이트 송도 테라스’(주거형 오피스텔) 전용 84㎡ 집주인들은 최초 분양가보다 1,000만원 싼 가격에 매물을 내놓고 있다. 송도동의 한 중개업소 사장은 “당초 예상보다 수익이 좋지 않다고 생각한 이들이 더 손해를 보기 전 빨리 정리하려는 것”이라고 했다. 송도동 ‘센트럴푸르지오’ 전용 84㎡도 최근 6억3,000만원에 손바뀜이 일어났는데, 이는 3월 6억9,000만원(실거래가)보다 6,000만원 내린 수준이다.
인천의 침체는 개발 호재가 미미하고 투자 수요 유입이 없다는 게 큰 이유로 꼽힌다. 김재언 미래에셋대우 VIP컨설팅팀 수석매니저는 “인천 구도심 지역은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곳은 많지만 이를 해제해달라는 주민 요구가 많다”면서 “개발 호재가 없어 시장을 주도하는 투자 수요가 들어오기 힘든 환경”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지역의 산업 경기도 좋지 않다는 점 역시 부동산 시장 침체의 원인”이라고 덧붙였다.
늘어나는 공급량도 집값 약세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분석이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2016년 9,405가구였던 인천 입주물량은 올해 2만2,629가구로 늘어날 전망이다. 분양물량도 2016년 1만8,037가구에서 올해 4만2,615가구까지 급증한다.
여기에 공급량 증가 추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5월 인천 인허가 실적이 1만4,730가구로 집계되는데 이는 지난해(6,169가구)보다 약 138% 늘어난 수준이다. 최근 5년간 평균(6,293가구)과 비교하면 134.1%나 증가했다. 인허가 물량은 통상 부동산 시장에서 공급량 선행지수로 해석되는 분야다. 한 부동산 통계 전문가는 “인천에는 앞으로 공급량 부담이 크게 작용할 수밖에 없다”면서 “당분간 집값 반등은 힘들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완기기자 kingear@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