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령화지수란 15세 미만 인구 대비 65세 이상 노령인구 비율로 유년인구 대비 고령층의 상대 규모를 나타내는 지표다.
11일 경기복지재단이 낸 ‘2017 통계로 보는 경기도 사회보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6년 경기도 노령화지수는 90.30%로 2년 전인 2014년 77.78%보다 12.52% 포인트 높아졌다.
전국 노령화지수인 101.15%에 비해서는 10.85%포인트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31개 시·군 가운데 가평의 노령화지수가 267.82%로 가장 높았고 연천 253.17%, 양평 236.61% 등 순이었다. 반면 오산은 49.50%로 가장 낮았으며 화성(52.06%), 시흥(64.06%), 수원(72.63%) 등도 고령화지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5∼64세 생산가능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 비율을 가리키는 노년부양비는 2014년 16.93%에서 2016년 18.41%로 1.48% 포인트 높아졌다.
연천이 43.74%로 노년부양비가 가장 높았고 오산은 12.78%로 가장 낮았다.
중위소득 50% 미만인 계층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상대적 빈곤율은 2016년 기준 17.94%였다.
연천(37.14%), 안성(34.92%), 여주(34.85%) 등은 상대적 빈곤율이 높았지만 과천(10.76%), 안산(11.68%), 오산(12.02%) 등은 낮았다.
경기도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수급자 비율은 2014년 1.53%에서 2015년 2.06%, 2016년 2.09%로 소폭 증가했다.
경기도 각 지자체 전체 예산 대비 사회복지예산 평균 비율은 2014년 33.45%, 2015년 32.11%, 2016년 29.92%로 다소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경기복지재단은 인구사회배경, 건강, 교육, 고용, 주거, 문화·여가, 환경, 삶의 질, 지역 인프라 등 11개 영역 110개 통계지표로 사회보장 보고서를 만들었다. /윤종열기자 yjyu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