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는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임시회의 현안보고에서 이같이 밝히고 적대행위 금지를 논의할 군사실무회담과 이산가족상봉행사를 논의할 적십자 실무회담 개최를 북한에 각각 제안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지난 6일 독일 베를린 쾨르버재단 연설에서 △휴전협정 체결일인 7월27일을 기점으로 군사분계선에서의 적대행위를 상호 중단하고 △10월4일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하는 한편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 참가하라고 북한에 제안했다. 그러나 북한은 이날 현재까지 아무런 공식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와 함께 통일부는 “판문점 연락사무소 직통전화, 군 통신선 등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 관리를 위한 남북 간 연락 채널 복원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여건 조성 시 한반도 평화와 남북협력을 위한 남북 당국 간 대화를 추진해 북한 비핵화, 한반도 평화정착과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현안 문제를 포괄적으로 협의하겠다”고 보고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호응을 유도해나가되 북한의 반응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인내심을 갖고 끈기 있게 한반도 평화와 안전을 위한 능동적 노력을 경주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통일부는 “북한이 핵·미사일 도발을 중단하지 않는다면 더욱 강한 제재와 압박을 지속해나갈 계획”이라며 추가 도발 중단이 대화의 전제조건임을 재확인했다.
/맹준호기자 next@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