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막을 내린 ‘서울포럼 2017’에 참석한 세계적 석학들과 기업인들은 한국이 4차 산업혁명의 물결에 올라타기 위해서는 법과 제도, 교육 시스템을 완전히 바꿔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들이 제시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소프트 인프라, 즉 새로운 사회 시스템은 △융합(Convergence) △공존(Harmony) △혁신(Innovation) △기회(Chance) △사람(Human) 등 다섯 가지 키워드로 요약된다.
포럼 참석자들은 ‘파괴적 혁신’으로 불리는 4차 산업혁명에 적응하기 위한 첫 번째 기본조건으로 ‘융합’을 꼽았다. 사회 전 분야의 칸막이를 허물지 않고서는 새로운 아이디어의 탄생이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국경을 넘은 협업을 통한 ‘공존’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에서 선두를 달리는 중국과의 협업이 한국에 돌파구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규제 완화를 통한 ‘혁신’도 언급했다. 급변하는 시장에 맞춰 정부가 규제를 풀고 기업이 신성장동력을 만들어내는 데 역량을 모은다면 최대 난제인 고용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참가자들은 4차 산업혁명이 한국에 또 다른 ‘기회’가 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도 내놓았다. 특히 우리나라의 우수한 인력과 정보기술(IT) 인프라는 미래에도 핵심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전문가들은 인공지능(AI) 등 기술 발달에도 ‘인간’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기조 강연자인 다니엘라 러스 매사추세츠공대(MIT) 컴퓨터 과학 및 인공지능연구소(CSAIL) 소장은 “AI는 한계가 있지만 인간의 가능성은 무한하다”며 “기업 규제 완화도 중요하지만 미래의 인재를 길러낼 교육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현섭·박윤선기자 hit8129@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