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민주당 대선후보 힐러리 클린턴의 ‘이메일 스캔들’을 축소하기 위해 연방수사국(FBI)에 ‘거래’를 시도했던 정황이 포착됐다.
AP통신에 따르면 이러한 국무부의 거래 시도는 FBI가 이메일 스캔들 관련 수사문서 100여건을 공개하면서 드러났다. 공개된 문서에는 패트릭 케네디 미 국무부 차관이 FBI에 클린턴의 일부 이메일을 ‘기밀’로 분류하지 않으면 FBI의 국외 파견 지역을 늘려주겠다는 제안을 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그러나 이 같은 요청은 결국 거부됐고, FBI는 지난 8월 이메일 사건 수사를 종결하면서 “클린턴이 개인 이메일 서버로 주고받은 이메일 가운데 최소 110건이 1급 비밀을 포함한 기밀을 담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FBI는 클린턴이 고의로 법을 위반할 의도가 없었던 것으로 판단하고 법무부에 불기소를 권고했다.
클린턴 캠프의 로비 무크 선거대책본부장은 이에 대해 “국무부와 다른 기관 사이에 기밀 분류를 놓고 논쟁이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라며 “정부에서 부처 관계자들끼리 기밀 분류를 놓고 다투는 것은 일상적인 일”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공화당 대선후보 도널드 트럼프 측은 버락 오바마 정부 차원의 ‘힐러리 구하기’라고 공세를 퍼부었다. 트럼프의 외교·안보 자문역인 마이클 플린 전 국방정보국(DNI) 국장은 성명에서 “FBI 수사문서는 고위층 내부에서 사건을 무마하기 위해 클린턴이 FBI, 법무부, 국무부와 결탁했다는 부인할 수 없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연유진기자 economicu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