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강세라는 악재로 이미 전자·자동차 등 주력 수출기업들은 수익성에 타격을 받기 시작했다. 상반기 원·달러 환율은 평균 1,182원이었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할 때 84원이나 높았던 것으로 큰 폭의 수출 하락을 막는 데 역할을 톡톡히 했다. 하지만 6월 중순 이후 이달 초까지 두 달도 안 되는 기간에 원화가치가 달러화에 대비 무려 3% 이상 높아지면서 이익감소가 이미 수천억원에 달한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문제는 이 같은 원화강세가 경쟁국보다 유독 심한데도 이를 막을 뾰족한 수단이 별로 없다는 것이다. 6월23일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Brexit) 이후 4일까지 달러화 대비 원화가치는 3.3% 상승했는데 우리나라보다 절상률이 더 높은 나라는 일본(4.3%), 브라질(4.5%), 남아공(5.1%)뿐이다. 그렇다고 정부가 외환시장에 개입했다가는 환율조작국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쓸 위험이 크다.
이런 현실을 종합하면 이제는 낡은 수출전략으로 돌파구를 마련하기가 쉽지 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세계 교역신장률 역시 이미 경제성장률을 밑도는 상황이다. 더 이상 전통적 방식의 수출을 고집했다가는 일자리 확대와 경제 활성화를 기대할 수 없다. 기존 제품의 품질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원격의료 등 서비스업 수출로 눈을 돌리는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서비스 산업에 대한 대폭적인 규제개혁이 필요한 이유다. 환율에 짓눌려 기업들이 일희일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정부와 20대 국회가 해야 할 일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