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수지 적자는 환율과 여타 부분에 연쇄파장을 몰고 올 수 있어 정부의 대응이 주목된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들어 지난 20일까지 무역수지는 44억7,9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해당 기간 수출액은 225억1,300만달러였고 수입액은 269억9,200만달러였다.
이 추세라면 8월 무역수지는 적자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
물론 월말에 밀어내기식 수출로 적자를 겨우 면할 수 있지만 그럴 경우에도 흑자폭은 7월(26억6,000만달러)에 크게 못 미칠 것으로 보인다.
가장 최근의 적자는 1월의 20억3,000만달러였다.
8월의 무역수지 실적 부진은 자동차ㆍ화학제품 등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품목 증가세가 둔화되는 반면 국제 곡물 가격 급등의 여파로 수입물가 상승세가 초래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됐다. 이런 가운데 유럽 재정위기도 좀처럼 해소되지 않아 오는 9월 이후에도 수출실적의 대대적인 호전을 기대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