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새정치연합의 통합은 분열된 거대여당 견제세력을 하나로 묶어 새누리당의 독주를 견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야권에 대형 호재임이 틀림없다. 6·4 지방선거를 불과 석 달 앞둔 시점에서 각각 15%와 18%에 불과한 지지율로는 40%에 달하는 여당과 맞서기 힘들다는 현실론이 작용했을지 모른다. 민주당 지지층과 정치개혁에 대한 국민의 갈망을 결합하면 예상외의 시너지를 얻을 수 있다는 희망도 있을 터다.
기대만큼 성과가 나올지는 미지수다. 야당 통합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1991년 민주당과 평민당이, 2007년에는 통합민주당신당과 열린우리당이 합당했다. 2012년 대통령선거를 앞두고는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와 안철수 후보 간 야권 단일화도 이뤄졌다. 하지만 결과는 모두 좋지 않았다. 언제나 국민을 위한 정치를 대외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속내는 선거 승리만을 목적으로 한 결합이었던 탓이다.
제3지대 신당이 성공하려면 무엇보다 정치공학적 통합을 뛰어넘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밀실·계파정치를 청산하고 정치개혁의 기틀을 마련하지 않고서는 국민의 지지를 끌어낼 수 없다. 정부와 여당이 하는 일이라면 무조건 반대부터 하는 구태에서 벗어나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정책정당이 되고 호남에 집중된 외연을 넓혀 전국정당으로 거듭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김한길 대표와 안철수 의원의 결단이 아무쪼록 야합이 아닌 뿌리 깊은 정치불신을 없애고 새로운 지평을 여는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