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때 '좌클릭'을 운운하던 새누리당이 종북 논란을 겪으며 '우클릭'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복지 논란이나 경제민주화 등 정책논쟁에서 늘 '더 센' 주장을 내놓던 야당에 밀리는 형국이었지만 종북 논란에서는 우위에 섰다는 표정이다. 다양한 이해관계가 부딪치는 복지 논란보다는 선명성을 강화할 수 있는 종북 논란이 대선전에 유리하다는 셈법도 작용하고 있다.
새누리당 최고위원회는 4일 백령도를 방문, 천안함 위령탑을 참배하고 현지 주민대피호에서 간담회를 개최했다. 임수경 민주통합당 의원의 '탈북자 변절' 발언 직후로 일정을 앞당겼다. 북한 도발의 상징인 천안함 사태와 연평도 포격 사건의 현장에서 자신들의 차별화된 안보관을 강조하기 위한 전략이다. 지난 18대 국회에서 민주통합당과 야당의 반대로 결국 무산됐던 '북한인권법'도 친박근혜계인 윤상현 의원이 다시 발의했다. 탈북자 출신인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도 "탈북자들이 누구를 변절한 것인지 밝혀야 한다"고 임 의원의 국가관을 문제 삼았다.
대선 잠룡들도 보수색 강화에 전념하는 모습이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지난 3일 중앙보훈병원을 방문해 6ㆍ25전쟁 및 월남전 참전 용사들을 위로했다. 정몽준 전 대표는 북한의 핵 보유 시도를 강력하게 비판하며 '핵무장론'을 주장했다. 통합진보당 문제 의원의 제명을 주장한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발언과 맥을 같이하는 대목이다.
2010년 지방선거에서 당시 한나라당은 천안함 사태를 이유로 안보 바람을 불러일으켰지만 민생을 강조한 민주당에 패했다. 이후 당은 색깔론보다는 복지 등 민생 이슈를 들고 나오며 보수색 지우기에 매진해왔다. 그러나 4ㆍ11 총선 당시 김용민 파문과 통합진보당 사태, 임수경 막말 논란이 연이어 터지면서 이제 당의 중심추는 민생에서 이념으로 움직였다. 당의 최대주주인 박 전 위원장이 공약 실천을 다짐하고는 있지만 종북 의원을 향한 제명 발언만큼 파급력을 보이지는 않는다.
새누리당의 한 의원은 "복지나 경제민주화 등 민생정책은 이분법으로 나눌 수 있지 않아서 주목도가 떨어지지만 종북 논란은 말 한마디로 분명하게 상대를 공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면서 "대선을 앞두고 종북과 관련한 네거티브가 여야를 막론하고 거세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