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시급한 일은 연기금을 비롯한 기관의 역할이다. 이헌재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도 “국내 기관투자가들이 중장기 투자자 역할은 물론 시장 안정자로서 역할조차 못하고 있다”며 증시의 안전판 역할을 해줄 것을 강력히 주문했다. 실제로 은행ㆍ증권ㆍ보험ㆍ투신ㆍ연기금ㆍ저축은행 등 국내 기관투자가들이 보유한 상장주식 시가총액은 지난해 말 11.2%로 사상 처음 12%대를 밑돌았다. 96년 30%를 넘었던 비중이 2002년 15.9%에서 1년 만에 4.7%포인트 급감한 것이다. 이승국 BNP파리바페레그린 대표는 “한국경제의 중국비중이 높은 상황에서 증시마저 너무 외국인에게 맡겨놓고 있다”며 “투신업 육성정책 등으로 증시에 활력을 불어넣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시장안정기금과 같은 일회성 정책은 부작용만 키울 수 있는 만큼 기관기관투자가 육성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개인ㆍ기업을 참가시켜라"=
기관과 함께 금융시장의 큰 축인 개인과 기업의 참여유도도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신성호 우리증권 상무는 “외국인들의 투자자금이 급격하게 이탈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금융시장의 참가자인 기업이 활발하게 주식을 매입할 수 있도록 주식매입한도 등을 완화시켜주고 개인투자자들의 장기투자를 유도하기 위한 세제혜택 등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오키베 지로 다이와증권 애널리스트는 “한국투자에 대한 메리트가 감소할 경우 외국인들의 대규모 자금유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하면서 “외국인의 힘이 아닌 기관ㆍ개인ㆍ기업의 힘으로 주식시장을 받칠 수 있도록 투자활성화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지적했다. ◇외국인투자가를 아군으로=
외국인투자가에 대한 일면적인 시각도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외국인투자자금 중에는 단기투기를 목적으로 하는 투기성 자금도 있지만 국내경제와 주식시장에 장기투자하는 동반자도 적지않다. 단기 투기성 자금에 대한 견제책이 필요한 만큼 중장기 투자자금을 유치하려는 열린 시각과 정책도 필요하다. 김영익 대신경제연구소 실장은 “중장기 해외투자자금을 유인하기 위해서는 인센티브가 필요하다”며 “외국인투자 유치와 함께 국내기업에 대한 투자유치에도 적극적으로 나서 금융시장 안전판을 튼튼히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