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7일 내놓은 ‘2012년 1ㆍ4분기 국민소득(잠정)’ 자료를 보면 실질 국민총소득 증가율은 교역조건 악화로 전분기보다 낮은 0.2%를 기록했다. 전분기 대비 실질 GNI 증가율은 2011년에 ▦ 1ㆍ4분기 0.0% ▦ 2ㆍ4분기 0.7% ▦ 3ㆍ4분기 0.6% ▦ 4ㆍ4분기 1.0%로 상승세를 보였다.
올해 들어 실질 GNI 증가율이 크게 낮아진 것은 국제유가 상승, 수출품 가격경쟁력 저하 등 교역조건이 나빠졌기 때문이다. 전분기 대비 1ㆍ4분기 명목 GNI도 2011년 4ㆍ4분기(2.4%)보다 크게 낮은 0.6% 증가했다.
1ㆍ4분기 총저축률은 전분기보다 1.2%포인트 낮은 31.3%에 그쳤다. 최종소비지출(2.2%)이 국민총처분가능소득(0.4%)보다 더 많이 늘어난 결과다.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분기 대비 0.9%, 작년 동기 대비 2.8% 성장했다. 경제활동별로는 제조업이 전기전자기기, 운송장비 등에 힘입어 2011년 4ㆍ4분기 -0.3%에서 올해 1ㆍ4분기 2.0% 성장으로 돌아섰다.
서비스업은 정보통신업, 교육서비스업, 보건ㆍ사회복지사업 등이 늘어나 전분기보다 1.1% 증가했다. 그러나 건설업은 주거용건물, 토목건설 부문이 부진한 탓에 전분기 대비 1.7% 감소했다. 특히 2011년 1ㆍ4분기에 전분기 대비 -4.3%를 기록했던 건설업은 같은 해 2ㆍ4분기 1.8%, 3ㆍ4분기 2.8%로 다소 호전되다 지난해 4ㆍ4분기(-0.2%)에 이어 연속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지출항목별로는 민간소비는 내구재 소비 증가로 1.0% 늘어났다. 설비투자는 반도체제조용 기계, 운송장비 등이 증가해 10.3%나 늘었다. 재화수출은 자동차, 석유화학제품을 중심으로 전분기보다 4.2% 증가했고, 재화수입도 일반기계, 금속제품 등의 호조로 4.0% 불어났다. 반면에 건설투자는 주거용건물과 토목건설 경기의 부진 때문에 1.2% 감소했다.
국내 총투자율은 29.5%로 전분기와 같았다.
/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