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부 수입유통업체가 중국산 저가ㆍ저품질 스테인리스 열연재와 냉연재의 마킹을 위조해 포스코 제품으로 둔갑시키고, 스테인리스 후판재를 ㈜DKC 제품처럼 위조해 판매하는 등 시장 질서를 교란시켜 문제가 되고 있다.
포스코는 수입재 피해에 대응코자 STS 위조제품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신고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직접 현장을 방문해 포스코 제품 진위여부를 확인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신고자의 익명을 보장하고 포상금도 지불할 예정이다.
STS는 고부가가치 강재로, 일반 열연재보다 두 배 이상 비싸 올해 중국산 저가재의 수입량이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하는 등 중국산 제품의 수요가 매년 늘고 있다.
소재의 규격과 품질이 엄격히 요구되는 중화학공업용 플랜트나 해양 플랜트 등 조선용 설비의 경우 인증을 받지 않은 저급 중국산 제품이 품질 인증을 받은 국산 제품으로 위조돼 사용되면 큰 산업 재해가 발생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와 관련 지식경제부는 올해부터 원산지 표시 대상물품 목록에 스테인리스 제품 등 수입 철강 판재류를 추가했으며, 관세청은 스테인리스 제품의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거나 거짓으로 표시할 경우 대외무역법에 따라 처벌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